691 0

시각이미지 유형에 있어 기하학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 연구

Title
시각이미지 유형에 있어 기하학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eometric Forms and Organic Forms with Consisting Visual Image Type
Author
최인영
Keywords
Image; 이미지; Visual Image; 시각이미지; Form; 형태; Geometric Form; 기하학적 형태; Organic Form; 유기적 형태
Issue Date
2017-0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3, No. 1, Page. 637-646
Abstract
시각이미지는 “이것은 무엇인가?”, “어디에 있는가?”, “무엇을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준다. 충격적인 시각이미지를 사용하는 광고디자인은 수용자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실적 시각이미지와 유기적 형태를 사용한다. 이는 사실적인 시각이미지를 바탕으로 신뢰를 주기 위한 방법이다. 추상적 시각이미지는 복잡한 콘셉트를 전달하기 위해 단순화 시키거나 과장되게 표현하는 시각이미지이다. 상징적 시각이미지는 그림문자처럼 교육을 통해 이해 할 수 있는 시각이미지이다. 시각이미지는 기하학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에 따라 전달하는 의미가 다르며,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시각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먼저 다양한 디자인 교육 분야의 이론적 교재를 중심으로 문헌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기본 디자인 요소 중에 실용적인 요소(Practical Elements)인 표현(Representative), 의미전달(Meaning)과 기하학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인 시각적인 요소(Visual Elements)를 여러 사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각디자인 유형인 사실적 시각이미지, 추상적 시각이미지, 상징적 시각이미지와 형태 유형인 기하학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를 매트릭스 이미지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사례인 자동차 광고를 분석 결과, 자동차 광고의 일반적인 시각이미지 코드는 사실적, 추상적 시각이미지 유형과 기하학적 형태 유형이 많았다. 본 연구 결과, 시각이미지 유형과 형태 유형은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관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시각이미지 분석 분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있어 브랜드 분류와 디자인의 기능을 기준으로 시각이미지 분석 요소를 구축하고 이에 적합한 시각이미지 유형과 형태 유형연구를 제안한다. Visual images answer “What is this?”, “Where is it?”, “What is it doing?” Shocking visual image in advertising attracts the viewer‘s attentions by utilizing Literal Visual Image with Organic Form. So the Literal Visual Image is a method to implement a trust to the viewers. The Abstract Visual Image communicates complex concept through simplifying and exaggerating the visual expressions and representations. The Symbolic Visual Image is a visual image like a pictogram that can be understand by educating the users. Also, the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Visual Image Types conjunction with Organic Form and Geometric Form can influence translating the message of a concept. The study explores literacy review on many design related textbooks to find the actual theories for organizing and analyzing Visual Image types, Organic Forms, Geometric Forms and its meanings. From the Basic Design Elements, the study analyzed several case studies based on Geometric Form and Organic Form based on the Practical Elements with Representation and Meaning. From the result, the visual images and the form categories consist 6 different categories and its level of intense determines an appropriate visual image analysis category. Hence, based on a brand category and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design, the visual image analysis category, a study of visual image category, and form category can be established which this research is strongly propos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1318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3170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