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9 0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Title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ebtoon Transmedia Storytelling Strategy
Author
박기수
Keywords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스토리월드; 집단지성; 향유; 체험; 팬덤; webtoon; transmedia storytelling; story world; collective intelligence; enjoyment; experience; fandom
Issue Date
2016-09
Publisher
한국애니메이션학회
Citation
애니메이션연구, v. 12, No. 3, Page. 97-117
Abstract
본고는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가능성을 모색하고 최적화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은 향유를 지속·강화·확산하기 위하여 복수의 매체와 장르를 가로질러 스토리월드(story world)를 확장적으로 구축해나가는 스토리텔링 전략 혹은 그러한 세계를 의미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장 큰 특징은 ⓐ 향유의 지속·강화·확산, 즉 활성화를 지향함으로써 콘텐츠의 가치를 늘 현재진행형 상태로 유지하려 한다는 점이다. 향유의 활성화는 생산자와 향유자라는 전통적인 경계를 붕괴시키고, 향유 행위 자체가 생산의 잠재태인 동시에 구체태로서 기능하며, 향유 공동체를 통하여 향유자들 간의 향유와 인정이 생산의 기반을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은 향유의 활성화라는 영원한 유예의 상태를 궁극의 지향으로 삼기 때문에 ⓑ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의 실천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 스토리월드를 구성하는 핵심의 정체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개방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 그 결과 ⓓ 텍스트는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모듈로서만 완결될 뿐이며 ⓔ 끊임없는 자기 증식과 구현 매체 및 기술, 그리고 주변 장르와의 융합(convergence) 가능성을 열어놓게 된다. 가장 역동적인 장르인 웹툰이 급부상하는 이유는 독립적인 콘텐츠로서의 가치만큼이나 원천 콘텐츠로서의 잠재적인 역량 때문이다. 본 논의에서는 개방성·확장성·역동성·유목성을 지향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월드와 웹툰이 생산적으로 만날 수 있는 지점으로 스토리텔링에 주목했다.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웹툰을 실체적으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장(field)’으로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웹툰의 장’은 향유를 동력으로 생산과 소비의 경계를 넘어서는 개방성과 유목성을 지향하며, 참여·가치·즐거움·공유·체험이 연쇄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함께 즐기는 놀이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작품 수에서나 구현 양상 면에서 미완의 모색기라 할 수 있다. 향후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① 스토리월드 구축 양상과 전략적 구축 방안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요구하고 있으며, ② 비즈니스적 전개와 팬덤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③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상호 텍스트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의 마련이 요구되고, ④ 향유의 기반이 되는 참여의 수준과 지속 정도에 대한 세분화된 논의가 필요하고, ⑤ 탈중심화에도 불구하고 선도하면서 다른 콘텐츠 창작을 자극하는 콘텐츠 간의 구도와 층위에 대한 탐구가 요구되며, ⑥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활성화에 적합한 스토리의 성격 및 필요 요소에 대한 실천적 탐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the transmedia storytelling and researching the optimization strategy of webtoon. Transmedia storytelling is either a storytelling strategy or the world that crosses the multiple media and genre by expansion of story world to extend, strengthen and spread the enjoymen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storytelling are ⓐ Tend to stay current and in continuos status by focusing on extending, strengthening, and spreading the enjoyment. Stimulating the enjoyment demolishes the traditional barrier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user, while enjoyment itself becomes both potential and concrete status of the producer. Also, user acknowledgement build the foundation of production by building the enjoyment community. ⓑ Acknowledge the practical involve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 Guarantee the oneness and autonomy of rest of the story world other than the core identity. As a result, ⓓ it would be completed as a module not as a complete text, and ⓔ open the possibilities for continuous self breed, realization medium, technology and convergence with other genre. The reason for sudden rise of webtoon is the potential capability as a source content as well as the value of a independent content. This article focuses on oneness, expansion, dynamic, and nomad aspect of storytelling where transmedia story world and webtoon can meet productively. Dynamic ‘field’ rather than nature of webtoon was understood to find the potential transmedia storytelling of webtoon. ‘Field of webtoon’ aim for oneness and nomad with power of enjoyment that crosses the border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Further it will be the playground that involve, value, fun, share, and experience through series of interactions. Transmedia storytelling of webtoon is at incomplete status considering the realization aspect and number of work. In the future ① Webtoon transmedia storytelling require practical discussion for story world building aspect and strategic building plan. ② Specific plan to create business development and fandom synergy must be considered. ③ Storytelling strategy on mutual text revitalization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is needed. ④ Break down discussion of participation and extension degree basing on enjoyment is needed. ⑤ Leading creation while decentralization of other content stimulating structure and level must be examined. ⑥ Lastly, practical search for right story characteristics and needed element to activate transmedia storytelling must be studi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10404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699
ISSN
1738-862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