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인영-
dc.date.accessioned2019-04-22T07:17:12Z-
dc.date.available2019-04-22T07:17:12Z-
dc.date.issued2016-06-
dc.identifier.citation브랜드디자인학연구, v. 14, No. 2, Page. 69-80en_US
dc.identifier.issn1738-0863-
dc.identifier.urihttps://www.earticle.net/Article/A28400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476-
dc.description.abstract어린이 디자인 교육은 과거 전통적인 미술 교육 속에서 발전하면서 꾸미기와 만들기의 학습과정이라고 인식되어져 왔으나 근래의 어린이 디자인 교육은 창의적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전문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재는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출판되고 있지만 소비자는 디자인은 미술이다. 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어 미술교재와 디자인 교재가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디자인 교육용 교재의 표지디자인과 브랜드의 관계를 분석하여 표지디자인의 특징적 요소를 찾아낸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표지디자인을 제안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선진 사례조사를 통하여 교육기관 중심으로 본 어린이 미술과 디자인의 차이점을 정의하고 국내 어린이 디자인 교재 6개를 선정하여 연도별 분석을 통해 디자인 변화의 흐름을 알아본다. 해외 조사는 6개 교육기관의 표지디자인을 제시하여 브랜드 디자인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서 고려해야 할 기본 편집 디자인 요소 4개 요소를 선정, 표지디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어린이 디자인 교육기관은 전통적인 미술교육 시장과 더불어 브랜드의 체계화가 중요시 되었다. 연구결과 어린이 디자인 교육용 교재의 표지는 선진교육 문화의 트렌드를 대표하여 프로그램의 메시지를 쉽게 전달하는 브랜드 가치향상에 기여도가 높은 시각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두어야 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 디자인 교육기관의 브랜드 전략을 세우는 동시에 어린이 디자인 교재를 제작할 경우 브랜드 기획과 표지디자인 콘셉트 설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Children design education was recognized as decoration and craft developing in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but the modern children design education is specialized to be helpful to creative problem solving. With the change, the materials are continuously developing, but the art materials and design materials are mixed together as the consumers still think design belongs to art.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out characteristics of cover desig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 design of children design teaching materials and the brand. The study then suggested effective cover design. The study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advanced studies to define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rt and design by educational institute. The study selected 6 children design teaching materials in Korea and looked out the changes of design by analyzing them by year. For overseas research, the study suggested cover design of 6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after selecting 4 basic design elements that shall be considered in brand design as visual communication elements. To children design education institutions, the systematization of brand has become important as well as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marke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children design teaching materials shall focus on a visual communication strategy that high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brand value representing the trend of advanced education. The study expects to provide a guideline for brand planning and cover design concepts as well as to establish a brand strategy for a children design education institution.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en_US
dc.subject어린이 디자인 교재en_US
dc.subject표지디자인en_US
dc.subject시각 커뮤니케이션 요소en_US
dc.subjectChildren Design Teaching Materialen_US
dc.subjectCover Designen_US
dc.subjectVisual Communication Elementsen_US
dc.title어린이 디자인 교재의 표지디자인 연구 - 교육 서비스 브랜드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요소 중심으로 -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over Design of Children Design Teaching Materials - Focusing on Visual Communication Elements of Educational Service Brand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14-
dc.relation.page69-80-
dc.relation.journal브랜드디자인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박미현-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인영-
dc.relation.code2016042993-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DESIG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dc.identifier.pidaychoi-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