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0

인형 디자인으로 본 시각적 동일시 표현에 관한 연구 - 바비인형 중심으로 -

Title
인형 디자인으로 본 시각적 동일시 표현에 관한 연구 - 바비인형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Visual Identification Represented By A Doll Design - Base On Barbie Doll -
Author
박규원
Keywords
시각적 동일시; 시각적 표현; 바비인형; Visual Identification; Visual Representation; Barbie Doll
Issue Date
2016-06
Publisher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 14, No. 2, Page. 101-110
Abstract
과거에서부터 오늘날까지 인간은 자신을 닮은 형상인 인형을 시각적 동일시하여 표현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어릴 적부터 친근하게 접한 인형 가운데 미의 대표적 기준이 되는 바비인형을 통해 소비자가 시각적 동일시되는 표현에 관해서 연구했다. 연구 방법은 바비인형의 변천과정과 표정을 분석하여 시대별 시각적 표현을 알아보고 바비인형의 형태를 분석하여 외모지상주의 문제점과 미의 가치관을 재해석하고, 시각적 동일시에 관한 표현적 요소를 정립하였다. 연구 결과, 바비인형을 통해서 시대별로 여성의 다양한 직업의 변천을 알 수 있었다. 표정 분석에서는 초기 바비인형의 시선은 옆을 보고 입술을 다문 무표정 이였고, 197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는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고 치아를 보이며 밝게 웃는 모습과 미소 짓는 등, 시대를 거치면서 자기주장과 의지가 점차 강해지는 여성상을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분석에서는 초기의 비현실적인 체형에서 최근에는 사람의 신체와 유사한 굴곡이 있는 체형(Curvy), 작은 체형(Petite), 키가 큰 체형(Tall)의 새로운 3가지 체형, 7가지 피부색, 22가지 눈동자색, 24가지 헤어스타일로 세분화된 것은 바비인형을 통해 소비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시각적 표현이 이루어져 시대적 동일시의 사회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분석으로 제한된 점이 있지만, 향후 이러한 이론을 기반으로 시각적 동일시에 관한 표현요소가 시각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한 연구 등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humans have represented dolls with shapes similar to them based on visual identificat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representation visually identified by consumers, through Barbie dolls becoming the representative aesthetic standard among dolls that have been familiarly contacted since young.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facial expressions of Barbie dolls were analyzed while also understand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each period. Understanding problems of appearance-oriented views and reinterpreting the aesthetic value by analyzing the form of Barbie dolls, the representational elements of visual identification were establish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Barbie dolls showed changes in diverse jobs for women in each period. In the analysis of facial expressions, the early Barbie dolls’ eyes were looking at the side with closed lips and a blank look. From the latter 1970s to the present, their eyes are toward the front with bright smile, reflecting a strong image of woman with self-assertiveness and strong will. In the analysis of their shapes, getting out of the unrealistic body shape in the early stage, recently, there are three new body types such as curvy body type with curves similar to human body, petite type, and tall type, seven different skin colors, and 22 eye colors, and 24 hair styles, which could be a social phenomenon of the identification of times as their visual representation meets consumers’ demands. Even 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a phenomenological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have future researches on the influence of representational elements of visual identification on the visual system.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28400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450
ISSN
1738-086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