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7 0

긍정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및 과정에 대한 연구

Title
긍정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및 과정에 대한 연구
Author
심원술
Keywords
긍정 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외재적 동기부여; 내재적 동기부여; Positive Leadership; Self-Efficacy; Job Engagement;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Issue Date
2016-05
Publisher
대한경영학회
Citation
대한경영학회지, v. 29, No. 5, Page. 793-827
Abstract
본 연구는 긍정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그 과정에 자기효능감, 외재적 동기부여, 내재적 동기부여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수립, 연구모형 설정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화된 연구모형에서 긍정 리더십은 독립변수로서 직무열의는 종속변수로서 자기효능감, 외재적 동기부여, 내재적 동기부여는 과정변수로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의 9개 기업 272부의 유의미한 설문 자료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연구모형 및 가설수립 내용들은 신뢰도와 타당성에 이상 없음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9개의 연구가설 중 7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긍정 리더십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 리더십이 외재적 동기부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재적 동기부여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 리더십이 직접적으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중간과정으로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외재적 동기부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재적 동기부여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재적 동기부여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내재적 동기부여는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긍정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두 변수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내재적 동기부여가 유의한 과정변수로 경로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리더의 긍정성 함양과 개발 그리고 긍정조직행동을 보이는 것은 조직 구성원들이 열의를 갖게 하는 원천으로 검증되었다.. 향후연구 방향으로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다른 주요 변인들을 찾아 검증이 필요하다. 리더십 유형을 추가하여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카리스마 리더십과는 긍정 리더십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비교 분석하는 점도 리더십 연구 확장에 양질의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방향들이 경험적, 실험적, 과학적 연구들로 계속 이어진다면 경영현장에서 충분히 적용되고 활용될 깊은 혜안과 시사점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self-efficacy,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s a path or process between positive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For empirical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ing to 9 companies in Korea. Returned 272 questionnaires used for this analysis. Empirical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nalyzed by SPSS 21.0 and AMOS 18.0. Research hypotheses are no defect found i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even of the nine provided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leadership on th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lso showed positive leadership i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t has been shown to a positive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In addition,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too. The extrinsic motivation effect was not suppo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on the job engagement. Whereas, intrinsic motiv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Therefore, positive leadership is effecting the job engagement. Then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describes a path to significant process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Result from hypotheses test, this study verified that positive leadership,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reinforce organization member’s high job engagement by vigor, dedication, absorption to high job engagement. Based on findings, positiv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 member’s attitude and behavior also job outcomes. Thus findings implies positive leadership has valuable topic of organization and leadership study. This study will argue positive behavior of leader increase self-efficacy on the basis of member’s mastery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social persuasion, physiological arousal transference from communication, relationship, climate and meaning. Increased members self-efficacy has been intrinsic motivation verified path to the high level of job engagement. This study conclude with several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next research. Finally,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re empirical, experimental, scientific research on these variables. If applied in the management field, then will be able to obtain a deeper insight and beneficial implication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487573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284
ISSN
1226-223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E](경상대학)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