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0

도시디자인을 고려한 공공시설물 개발에 관한 연구 - 하동군의 가로시설과 안내시설을 중심으로 -

Title
도시디자인을 고려한 공공시설물 개발에 관한 연구 - 하동군의 가로시설과 안내시설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y Considering Urban Design - Focused on Street Furniture and Guidance Facility in Hadong
Author
윤종영
Keywords
Urban Design; 도시디자인; Urban Design Identity; 도시디자인 아이덴티티; Public Facility; 공공시설물; Street Furniture; 가로시설; Guidance Facility; 안내시설; #Cultural Values; 문화적 가치
Issue Date
2016-0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2, No. 1, Page. 273-281
Abstract
Cities around the world pur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ociety through city identity by using culture and tourism. Freiburg, eco-city in Germany and Bilbao in Spain are the best examples of cultural tourism cities which are focused on urban design and public design. Several cities in Korea are trying to revive the historic cultural features with public design and they have put the story on the cultural values of the city. As such various researches are recently performed in order to change city. Hadong has beautiful and historic places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harmony, as like Jiri mountain, Southern Ocean and Seomjin river. This study addresses the problem through the history, culture, survey and analysis of existing public facilities Hadong area and it presents a systematic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ies design for communicating with cultural value of the area.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 design development system and design management guidelines which makes consistent and continuous care for public facilities. This present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jump into the cultural tourism city This study explored literature review on the definition of public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components and analyzed the geographical situation of target area of Hadong-gun for public design facilities. And also current status of street furniture (bus shelters, bollard, fences, trash) and guidance facility (Integrated Information sign), subject of this study,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is study suggests design of public design facilities and design guidelines for each facility according to the design concept. This study proposes new design on the concept of ‘harmony of traditional and modern’ to replace the existing street furniture which has lack of consistency in form and color, and high saturation and brightness and guidance facility which has the low legibility, and uneasy use of information. 세계 각국의 도시들은 도시 아이덴티티를 통해 문화와 관광요소를 바탕으로 도시 브랜드 가치와 공공사회의 질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독일의 생태도시인 프라이부르그(Freiburg)과 스페인의 빌바오(Bilbao) 등 이 도시디자인과 공공디자인을 통해 일궈 낸 대표적인 문화 관광 도시들로 꼽힌다. 우리나라 여러 도시들도 공공디자인을 통해 역사문화적 기능을 회복하고, 도시에 이야기를 담아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며, 도시를 새롭게 변모시킬 방안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동군은 지리산의 위용과 넓은 남해바다와 섬진강의 유유함이 조화를 이루는 천혜의 자연환경의 아름답고 유서 깊은 고장이다. 본 연구는 하동 지역의 역사와 문화, 기존 공공 시설물 실태조사 및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내고,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소통되는 체계적인 공공 시설물 디자인을 개발 제시하며, 이와 더불어 일관성 있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디자인 개발 시스템 및 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하동군의 이미지 제고와 지역민의 편의성, 삶의 질 향상 및 관광 도시로의 도약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의 정의와 구성요소 및 공공시설물 분류에 대해 문헌연구를 진행하고, 하동군의 디자인 시설물 개발 대상지의 지리적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하동군 공공시설물 중 본 연구의 대상으로 제한한 가로시설(버스쉘터, 볼라드, 펜스, 휴지통)과 안내시설(통합안내사인)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로서 디자인 컨셉설정에 따른 각 시설물의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형태 및 색상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고 높은 채도, 명도의 사용으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기존 가로시설물과 하동의 정체성의 반영되지 못하고 시인성과 정보 이용의 용이성이 낮은 안내시설을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어울림’이라는 컨셉 아래 하동의 정체성을 현대적 감각과 기능으로 접목시킨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64993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173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PUTING[E](소프트웨어융합대학) >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ICT융합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