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범수-
dc.date.accessioned2019-04-16T06:00:42Z-
dc.date.available2019-04-16T06:00:42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citatio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 16, No. 2, Page. 762-771en_US
dc.identifier.issn1598-4877-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61411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11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대 문화 예술 소비 다양성 결정 요인을 다양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현재 문화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을 포함해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정보 및 오락 장르) 요인이 정적으로 20대 문화소비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요인은 부적으로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순수 및 대중 문화 소비 다양성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현재 문화 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 및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정보 및 오락) 요인은 정적으로, 소득 요인은 부적으로 순수 문화 소비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 문화 소비 다양성의 경우, 현재 문화 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을 포함해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 요인은 정적으로, 성악-합창 등에 대한 교육 기간이 부적으로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diversity in cultural consumption among people in their 20s. The main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his study explored determinants of diversity in nine cultural consum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was determined by three factors such as current interests in cultural fields, content preferences based on broadcasting genres, and income. Although current interests in cultural fields and content preferences based on broadcasting gen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cultural consumption, income was negatively correlated. Next, this study examined diversity in cultural consumption in terms of two separate orientations such as highbrow and mass cul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diversity of highbrow culture was determined by current interests in cultural fields, content preferences based on broadcasting genres and income. Also, diversity of mass culture was determined by current interests in cultural fields, content preferences based on broadcasting genres and education period for classic music including opera and choru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콘텐츠학회en_US
dc.subject문화 상품en_US
dc.subject문화 소비en_US
dc.subject콘텐츠 소비en_US
dc.subjectCultural Productsen_US
dc.subjectCultural Consumptionen_US
dc.subjectTasteen_US
dc.title20대 문화 소비의 다양성 결정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 자본, 콘텐츠 장르 이용 특성, 인구사회 요인의 영향en_US
dc.title.alternativeDeterminants of Diversity in Cultural Consumption among People in their 20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16-
dc.relation.page762-771-
dc.relation.journal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슬기-
dc.contributor.googleauthor전범수-
dc.relation.code2016019321-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COMMUNICATIO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dc.identifier.pidccblade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