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6 0

한일 단형(短形) 시가의 비교 연구 - ‘극(極)서정시’와 ‘하이쿠(俳句)’를 중심으로

Title
한일 단형(短形) 시가의 비교 연구 - ‘극(極)서정시’와 ‘하이쿠(俳句)’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Korean and Japanese Short Poetry -Focused on the Extreme Lyric and Haiku
Author
이재복
Keywords
하이쿠; 극서정시; 단형시가; 비트; 기고; 기레지; 불역유행; 정신주의; 사회적효용성; Haiku; the Extreme Lyric; short poetry; bit; seasonal word; ending word; not changing and flowing; the spiritualism; social efficiency
Issue Date
2015-12
Publisher
국제비교한국학회
Citation
Comparative Korean Studies, v. 23, No. 3, Page. 225-252
Abstract
일본의 하이쿠와 우리의 극서정시를 비교 연구하는 일은 결코 만만한 일은 아니다. 각각의 시 양식이 발생한 배경과 역사적 전통이 다를 뿐만 아니라 여기에 내재해 있는 감성과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두 양식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은 다양한 문화 양식의 출현으로 위기를 맞은 문학 양식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반성의 필요성 때문이기도 하려니와 그것을 통해 지금 이 시대가 요구하는 문학의 양식이 어떤 것인지를 모색하기 위해서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먼저 주목한 것은 하이쿠와 극서정시의 양식이 단형(短形)이라는 점이었고, 이것이 비트(bit)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매체인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형식에 잘 맞을 수도 있다고 판단하였다. 하이쿠와 극서정시 그리고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속성은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응축되고 집적된 감성과 구조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이런 지금, 여기에서의 사회적인 효용성의 차원에서 하이쿠와 극서정시를 비교해보면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분명하게 존재한다. 두 양식은 모두 단형에다 직관을 필요로 하며, 고전적 취향에다 여백을 통한 독자의 해석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 하지만 하이쿠는 정형시이고 극서정시는 비정형의 시이다. 이로 인해 하이쿠는 글자 수가 17자(5-7-5)로 제한되어 있고, ‘기고(季語)’와 ‘기레지(切字)’ 같은 규칙이 있다. 이에 비해 극서정시는 비정형시이기 때문에 다른 제한이나 규칙이 없으며, 한 행 또는 삼사 행의 서정시를 이상적인 형태로 지향한다는 정도의 언급 밖에는 없다. 이것 역시 권고 사항일 뿐 극서정시 운동을 전개한 시인의 시를 보면 짧지 않은 시들도 존재한다. 아직 극서정시에 대한 명료하고 구체적인 시론이라든가 창작물이 생산되지 않은 탓일 것이다. 이 운동을 이끌고 있는 최동호 자신도 극서정시 운동이 모색의 단계에 있음을 고백하고 있다. 하이쿠의 오랜 전통에 비하면 극서정시의 역사는 일천하다. 극서정시의 명명이 2010년 『유심』지(11월­12월호)에서 비롯된 것을 감안한다면 이제 겨우 5년 정도 지난 것이다. 어떤 운동이 운동으로서 자리를 잡고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극서정시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 정립이라든지 여기에 근거한 활발한 창작이 전제 될 때 이 시운동은 운동으로서의 의미와 그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극서정시 운동이 가지는 진정한 불안은 여기에 있는 것이 아니다. 일본의 하이쿠와 비교해보면 그 불안의 정체는 분명하게 드러난다. 하이쿠가 오랜 기간 동안 일본인들 뿐만 아니라 세계인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데에는 이 양식이 담고 있는 하나의 이념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이쿠는 ‘불역유행(不易流行)’이라는 이념을 지향한다. 여기에서의 ‘불역’은 “시적 생명의 영원성, 불변성”이고, “유행”은 “시대와 함께 변화하는 유동성”을 말한다. 바쇼의 이 말은 그가 추구하는 하이쿠의 이념이 정신의 순수성과 시대성 혹은 대중성을 모두 담아내려는 태도를 겨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역유행의 이념은 정신주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극서정시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우리의 시인들에게도 요구되는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하이쿠와 발생 배경과 역사적 맥락을 다를 수 있지만 불역유행이라는 덕목은 그것을 초월하는 어떤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 시의 이념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고 본다. 극서정시 운동이 정신주의 일변도로 나아가다 보면 유행(流行), 다시 말하면 시대와 함께 변화하는 유동성을 간과하거나 망각할 위험성이 있다. 정신의 고양이 그러한 유동성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겠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소수 시적 선지자들의 생각일 뿐 일반 대중과는 거리가 있는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바쇼의 고뇌 역시 여기에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어쩌면 극서정시와 하이쿠를 통해 본 한일 시가의 미래, 더 나아가 문학과 예술의 양식은 물론 지금, 여기에서 커다란 사회적인 효용성을 지니고 있는 대중문화 양식의 미래 역시 여기에 있는지도 모른다. The Existentialism is a thought which has been so influential on Korean Intellectuals. Especially the latter has been interested in that of Jean-Paul Sartre and his theory of Engagement.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3 ways through which the existentialism and the theory of Engagement have been introduced and the meaning of these ways. At first, in the late of 1940s, Koreans met the existentialism on their search of ideal type that would be the spiritual criterion of the new emancipated society from the long colonized period. Secondly, during the 1950s, they found the existentialism as the correlative of the devastated mind, sense of despair and futility from the Korean War. Thirdly, in the early 1970s, Korean intellectuals examined the Sartrian theory of Engagement as a representative of the ideologies which are insisting the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of the literature. However, in these heteroclite process, the Koreans were attracted to the existentialism by the same impulsion that is the will to new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ard the cliche that ‘the existentialism was related to the desperate feelings in front the radic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process, the Koreans assumed the critical attitudes against the existentialism. That is, they didn`t consider the existentialism as a reference to build the spiritual touchstone of the new Korea. In the third process too, the some intellectual group refuted fiercely the theory of Engagement in literature being seized with terror by the hunch that the theory of Engagement in Sartrian existentialism could slide down to the communism. The two attacks started at the absolutely different political and philosophical grounds. The intellectuals in the liberation period had been sucked into the communism as the alternative system of the Modernity. Those in the early 1970s, as survivors of the war against the communists of North Korea, were afraid of the affinity between Sartrian Engagement theory and Socialist Realism Nevertheless, these two attitudes criticized the position of Sartre by the same argument that asserted that the thought of Sartre falls under the subjective idealism. What does this bizarre accord between the incompatibles attitudes mean? This resulted from the equal naive consideration into which two antagonistic philosophies were taking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d the illusion they walked into by their obstructed logical structure. These naive attitudes retreat before Sartrian existentialism under the cause of passing it ahead.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0648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002
ISSN
1226-2250
DOI
10.19115/CKS.23.3.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한국언어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