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인영-
dc.date.accessioned2019-04-04T00:06:26Z-
dc.date.available2019-04-04T00:06:26Z-
dc.date.issued2015-09-
dc.identifier.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1, No. 3, Page. 675-683en_US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7086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1455-
dc.description.abstractWhen the society changed with a time, the design changed with it and the design education developed its needs. The Generation Z (birth after 2000’s)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an previous generations. Gen Z experienced the initial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ir adolescent age, thus they are easy to adopt the new technology and has ability to organize meaningful information that leads to have faster learning ability. Also, Gen Z strongly uses social media as their life style that they can communicate least 2 languages fluently and they can locate their job placements worldwide. The first group of Gen Z will be entered the University in year 2019 and this research is a preparation for it. The Goal of the Education for the Gen Z is help they can find their career field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and find their life long career path within same career fiel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for finding the Objectives of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and propose it. First, the researcher studied today’s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the function and attributions of the Objectives of Education,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 Z. With that research findings, the study continued with a survey. It surveyed about 100 university educators and designs with least 10 years’ experience in the Communication Design field and carefully selected best 60 surveys to analyze its result. Through 18 questions, the researcher finalized that Education-Research-Industry based education and global integration education with live project network can benefit educating the Gen Z students. Therefore, the researcher organized the Objectives of the Education by analyzing Individual Factors, Society Factors, and Total Factors. We need to formalize a new design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new technology and society; and we need to de-emphasize the Bauhaus education system. To make new approaches with unpredictable result is hard, but we need to continue our study for increasing our new labor force and its effective education system. This study can benefit and initiate its development. 세월이 지나면 사회가 변화하듯이 사회에 맞게 디자인도 변화해 왔고, 이에 디자인 교육도 발전하였다. 2000년도 초반에 태어난 Z세대는 기존 세대와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Z세대는 정보기술 붐과 함께 유년 시절부터 디지털 환경을 경험하여 신기술에 민감하고 정보를 쉽게 정리하는 능력이 있어 학습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세대로 기본 2개국을 구사하고 해외 진출이 가능하다. 이런 Z세대의 본격적인 대학교육에 앞서 이들을 위한 대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세우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Z세대를 위한 교육목적은 Z세대 학생들이 미래에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고 그 직종에서 평생 근무 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Z세대 디자이너를 육성하는 데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지 분석하고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현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교육을 조사하고 교육목표의 기능과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Z세대 학생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분야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교수 및 디자이너 100명을 설문조사하였고 그 중에 60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총 18개의 질문을 통해 학연산 융합교육과 국제화 교육 및 산학 네트워크 중심 교육이 Z세대 학생들에게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교육목표 수립요소인 개인중심적 입장, 사회중심적 입장, 통합적 입장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제 급변하는 기술과 사회의 인지를 바탕으로 디자인 학문은 바우하우스 교육 체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결과가 불확실한 새로운 것을 만들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디자인 교육과 국가 디자인 인력 자원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연구해 나아가야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이 디자인 교육 발전에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한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en_US
dc.subject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 디자인)en_US
dc.subjectDesign Education(디자인 교육)en_US
dc.subjectGeneration Z(Z세대)en_US
dc.subjectObjectives of Education(교육목표)en_US
dc.titleZ세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학문의 교육목표에 관한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Objectives of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for the Generation Z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21-
dc.relation.page675-683-
dc.relation.journal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인영-
dc.relation.code201504123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DESIG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dc.identifier.pidaychoi-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