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경숙-
dc.date.accessioned2019-03-29T07:34:24Z-
dc.date.available2019-03-29T07:34:24Z-
dc.date.issued2016-12-
dc.identifier.citation기초조형학연구, v. 17, NO 6, Page. 477-490en_US
dc.identifier.issn1598-8635-
dc.identifier.uri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9278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1331-
dc.description.abstract기술의 발달은 사물과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정보를 생성, 수집, 공유, 활용하는 시스템 환경인 `사물인터넷`시대를 도래시켰다. 사물인터넷 기술은 디바이스의 단순 연결단계에서 주변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인프라 구축 단계를 넘어서 궁극적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지능적이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며, 이를 위해 고도의 지능화를 바탕으로 한 사물의 상호연결과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가치사슬 내의 연계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공유의 관점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초연결사회의 도래와 함께 찾아온 사물인터넷 기술의 일상화, 보편화에 의한 주거환경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한 예비연구의 단계로써, 현황조사의 일환으로 가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가전제품의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환경의 사물인터넷 제품은 그 핵심 기능에 따라 유형적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각 유형은 그 기능과 목적에 부합하는 특정한 데이터를 센싱한 후 가정 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여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서비스로써 제공한다. 즉 각 제품은 본연의 한 가지 기능에 충실하며 하나의 용도나 활동을 지원하되,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집중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결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을 때, 각 사례는 기존의 사물 및 유무형의 자원을 다양하게 연결함에 따라 기존 가구의 기능을 대체하고 이를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로써 제공하는 지능적이고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거환경의 사물인터넷 기술은 완전히 새로운 신기술과 기능을 만드는 것뿐이 아닌, 기존의 사물의 기능을 연결하고 이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또 다른 가능성을 안고 있을 것이다. A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een on the rise of hyper-connected environment that creates, collects, shares, and utilizes information with the connection between objects regardless of human intervention at anytime and anyplace, so called as Internet of Things (IoT). The major technology of IoT not only provides new servic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certain information, but also has a potential to create new values by connecting existing objects and functions of them.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f IoT-based household appliances in daily life, as a level of preliminary research to explore how our environment will be changed based on institutional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IoT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sis, we categorized the cases as 4 typ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we figured out that each product is loyal to one function, and supports one purpose or activity, however, it has a function to correspond to various circumstances of users. In terms of connectivity, IoT-based household appliances are more likely to focus on offering convenience to user by connecting and replacing functions of various existing home appliances and furniture, rather than providing completely new technologies and function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기초조형학회en_US
dc.subject사물인터넷en_US
dc.subject가전제품en_US
dc.subject연결성en_US
dc.subjectInternet of Thingsen_US
dc.subjectHousehold applianceen_US
dc.subjectConnectivityen_US
dc.title사물인터넷 기술기반 가전제품 사례분석 연구 -사물인터넷의 연결성을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A Case Study of Household Appliances based on IoT Technology -focused on the connectivity of IoT-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6-
dc.relation.volume17-
dc.relation.page477-490-
dc.relation.journal기초조형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장수정-
dc.contributor.googleauthor남경숙-
dc.contributor.googleauthorChang, Soo Jung-
dc.contributor.googleauthorNam, Kyung Sook-
dc.relation.code2016019198-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 ECOLOGY[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dc.identifier.pidksna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