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4 0

파운드 오브제(Found Object)를 활용한 장신구에 관한 연구

Title
파운드 오브제(Found Object)를 활용한 장신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ewelry Utilizing Found Objects
Author
이형규
Keywords
Found Objects; Jewelry; Object Craft
Issue Date
2015-06
Publisher
한국디자인지식학회
Citation
디자인지식저널, v. 34, Page. 131-142
Abstract
20C 초 오브제 미술의 등장은 미술영역에 획기적인 파급효과를 주었고 현대미술의 방향을 바꾸어 놓는 변화를 이룩하였으며 현대 공예에도 영향을 미쳐 오브제 공예라는 새로운 공예미학을 탄생시켰다. 오브제 공예는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함께 조형의 기본 요소들을 중시하는 순수조형을 추구함으로써 예술적·조형적 가치가 우선시 되어 순수 조형물로서의 기능을 보여준다. 현대공예는 오브제의 도입으로 단일재료에 의한 전통적 제작방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에 의한 오브제 표현으로 전개되었는데, 특기할 것은 공예품의 소재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기성품, 일상용품, 자연물 등의 파운드 오브제의 활용이다. 파운드 오브제의 등장은 전통 제작과 사용 기능의 반 개념을 나타내 종래의 공예의 역할과 기능에 혁신을 가져왔다. 이러한 파운드 오브제는 공예의 한 영역인 장신구 영역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단지 재료로서의 표현수단을 넘어 조형의식을 개혁하고 장신구의 표현영역 확장을 가져왔다. 파운드 오브제가 장신구 영역에 활용되어 이룩한 변화는 첫째 장신구는 재료의 복합화로 관념적인 표현에서 벗어나게 되고, 손에 의한 수공적 의미를 붕괴하는 조형의식의 개혁을 이루었으며, 둘째 장신구는 작가의 창작 의도가 강조되고 일상과 사회현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유도하여 예술성 지향, 일상성 강조 및 사회성 추구 등의 혁신적 장신구 개념을 정립하였고, 셋째 장신구는 순수미술의 다양한 스타일을 반영하여 예술 표현이 이들과 동질성을 갖게 됨으로써 조형예술로서의 창조적 변화를 이룩하였다. 이와 같이 파운드 오브제는 장신구에 활용되어 단지 표현수단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조형언어로 또한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The advent of found-objects, representing an anti-concept of traditional production and use function, has brought about an innovation in the role and function of handicraft. This kind of found-object is increasingly utilized in jewelry area, a field of traditional handicraft, introducing in the process a new means of representation that helped innovate our formative perception and expand the expressive possibility of jewelry genre. Changes that have been brought about by this transition in jewelry are, first, accommodation and increasing use of diverse materials, second, 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of jewelry, and third, a diversity of styles it engendered as a formative art. As can be evidenced in this transformation, the found objects, when they are utilized in jewelry, not only serve as a means of expression bu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formative language of artists as well a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audience.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6023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962
ISSN
2092-704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JEWELRY & FASHION DESIGN(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