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성복-
dc.date.accessioned2019-03-15T07:33:39Z-
dc.date.available2019-03-15T07:33:39Z-
dc.date.issued2015-06-
dc.identifier.citation탐라문화, v. 49, Page. 219-264en_US
dc.identifier.issn1226-5306-
dc.identifier.uri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4687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869-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제주지역 다매체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속성을 중심으로 미디어 장르 이용행태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제주도민 1348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소득수준, 출신지역)에 있어서의 각 미디어별 이용 장르 및 기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국TV방송 장르 이용, 지역TV방송 장르 이용, 인터넷 이용에서는 성별, 연령, 학력, 소득수준, 출신지역 모두 어떤 미디어를 선택해 이용하는지에 대한 결정요인이 됐다. 하지만 라디오방송과 전국일간지, 휴대폰 이용에서 출신지역은 아무런 영향이 없었고, 지역일간지 이용에 있어서는 소득수준과 출신지역이 미디어 콘텐츠에 따른 장르나 기능이용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20대를 대표하는 젊은층과 50대 이상의 장년층과 노년층에서 미디어 이용 ‘격차’ 현상을 보였다. 다매체 이용집단의 미디어 장르별 이용에 있어서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장르별 이용 차이를 검증했다. 군집의 분포 정도와 최종 군집중심을 기준으로 정한 6개의 다매체 이용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프로그램 장르에서 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이용 집단별 장르 이용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는 미디어별 장르와 이용유형에 따라 주로 소비되는 이용자 집단이 누구이며, 이들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미디어산업 주체들에게 편집 및 편성 방향 등 현실적 시사점을 일부 제시해 주고 있다.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Jeju region multimedia users, media genre usage behavior was analyzed. For this, difference of media usage genre and functions in sociodemographic feature(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origin) of 1348 Jeju resident subjects were analyzed in which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origin were determinants of which media was selected in usage of national TV broadcasting genre, usage of regional TV broadcasting genre, and usage of the internet. However, there was no influence of origin in radio broadcasting, national daily, and cell phone usage. Income level and region of origin had no influence of decision of genre or selection of function usage in media contents in usage of regional daily. Especially the young generation representing the 20s and elderly group over 50s showed ‘gap’ phenomenon in media usage. To look into features in usage of media genre by multimedia usage groups, difference of usage by genre was verified. As result of analysis on 6 multimedia usage groups based on distribution degree of community, it was shown that difference by groups existed in all program genres. There is meaning in analysis of genre usage difference by media usage groups, the importance of this was known, and realistic implications of editing or organization direction are partially suggested to media industry subject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en_US
dc.subject다매체 환경en_US
dc.subject인구사회학적 특성en_US
dc.subject미디어 이용en_US
dc.subject미디어 장르en_US
dc.subject지역언론en_US
dc.subjectMultimediaen_US
dc.subject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en_US
dc.subjectMedia Genreen_US
dc.subjectMedia Useen_US
dc.subjectLocal Mediaen_US
dc.title제주지역 다매체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장르 이용행태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Usage Pattern of Media Genre in Jeju: According to Demographics of Multi-Media User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9-
dc.relation.page219-264-
dc.relation.journal탐라문화-
dc.contributor.googleauthor정용복-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성복-
dc.relation.code2015039773-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COMMUNICATIO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dc.identifier.pidoctobernine-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