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에 나타난 봄의 형상 - 四時歌系 연시조를 중심으로 -

Title
시조에 나타난 봄의 형상 - 四時歌系 연시조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Representations of spring in Literature - Focus on Sasigagyeo Yeonsijo -
Author
김상진
Keywords
봄; 사시가계 연시조; 관념; 관습; 행동; 이념의 정립; 전통의 계승; 현실의 인식; spring; Sasigagyeo Yeonsijo; ideas; customs; behavior; ideological form ulations; succession of traditions; perception of reality
Issue Date
2015-06
Publisher
중앙어문학회
Citation
어문논집, v. 62, Page. 217-243
Abstract
The cycle of seasons begins with spring. The seasons are being granted to the temporal order in nature. This study explores representations of spring in Sijo (時調). This ultimately is of interest for nature. Among them is particular interested in the variety of attitudes to nature. In this paper, the same target are recognized for the difference between notes. Sasigagyeo Yeonsijo (四時歌系 연시조) is the focus. Spring in literatu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representations: As ideological formulations and as the spring of ideas, as a succession of traditions, and as the spring of customs. The last discusses reality and ways of behavior in the spring. These indicate the historic and architectural changes in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spring is about ideology, which appears in the Joseon (朝鮮) former Sijo. In the latter Joseon (朝鮮) Sijo, spring is depicted realistically. The customary spring in close relationships that is a tradition of succession. This is a tradition that is commonly followed in a group or society and is hence longitudinal. Traditionally, spring involves customary succession and bears a close relationship. A good example is the Eobugagyeo Yeonsijo (어부가계 연시조). For example, in the Yoon Seon-do‘s (윤선도) Eobusasisa’s (어부사시가) spring is succeed in the emotion of Eobuga (어부가). In other Sijo found that Emotional customs of spring. Physical spring thus remains unchanged,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However, spring in literature depends on the genre, age, and situation. These findings could be of use in understanding human life and literature or Sijo. 계절은 봄으로부터 비롯된다. 계절은 자연이란 대상에 시간적 질서를 부여한 것이다. 그러므로 시조에 등장하는 봄의 형상을 조망하려는 본고의 취지는 궁극적으로는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자연을 인식하는 다양한 태도에 대한 관심이다. 동일 대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주목하는 만큼, 연구의 대상 작품 또한 계열화가 가능한 일련의 사시가계 연시조를 중심으로 하였다. 시조에 나타난 봄은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다. 이념의 정립과 관념의 봄, 전통의 계승과 관습의 봄, 그리고 현실의 인식과 행동하는 봄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범주는 시대적 추이나 사회적 인식과 관계를 맺게 된다. 국가의 기강이 확립되어가고 성리학의 이념이 지배적이던 시기였던 조선 전기 시조에 등장하는 봄은 관념의 대상이다. 그래서 봄을 노래하되 그것으로써 자신의 이념을 드러내게 된다. 조선 후기로 접어들며 현실의 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시조에 등장하는 봄의 형상에도 변화가 생긴다. 즉, 봄을 현실적으로 인식하며 행동의 계절로 묘사하는 것이 그것이다. 관념의 봄과 행동하는 봄이 조선 전, 후기로 구분되며 횡적관계를 이루고 있다면 관습의 봄은 집단이나 사회에서 통용되는 전통의 계승과 긴밀함을 맺으며 종적으로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일련의 어부가계 연시조를 꼽을 수 있는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등장하는 봄에는 ‘어부가’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정서가 관류하고 있다. 여타의 시조에서도 봄에 대한 정서적 관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 물리적으로 동일한 봄이 문학의 장르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변모하는지 검토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삶에서 문학, 또는 시조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5086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863
ISSN
1229-640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한국언어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