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2 0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요소로 본 라이브 퀴즈앱 <잼라이브> 연구

Title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요소로 본 라이브 퀴즈앱 <잼라이브>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ve Quiz Application Focused on Infotainment Design Factors
Author
정예은
Alternative Author(s)
Chung, Yeeun
Advisor(s)
김영재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무수한 정보가 생산·소비됨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와 더불어 유희본능을 자극하는 재미있는 정보 경험에 대한 대중의 욕구 또한 커지게 되었다. 재미는 정보 콘텐츠에 있어서 정보의 이해와 수용을 확대하는 중요한 요소임에 따라 정보(Information)와 오락(Entertainment)이 결합된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사용자들이 인포테인먼트 콘텐츠를 통한 보다 경험적이고 흥미로운 정보 습득 방식을 선호하는 가운데, 라이브 퀴즈앱 <잼라이브>(JAM Live)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퀴즈쇼가 등장했다. <잼라이브>는 기존 퀴즈쇼와 달리 사용자의 무조건, 무제한적 참여 기회 제공과 함께 정보와 사용자 간 인터랙션의 기회를 확대하며, 오락적 흥미와 지적 유익, 물질적 혜택을 줌으로써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잼라이브>는 국내 라이브 퀴즈앱 시장을 선도해나가는 하나의 게임이자 정보전달 플랫폼으로서 콘텐츠의 소재 및 기능이 정보와 오락이라는 점에서 이를 인포테인먼트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잼라이브>를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관점에서 물리적, 구조적, 심리적 요소에 따른 세부 표현 요소들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물리적 요소로는 시각적 이미지와 사운드, 모션이 있으며, 이는 <잼라이브>에서 감각적 자극을 통한 사용자의 퀴즈쇼 및 정보에 대한 몰입, 시청각의 효과적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를 보다 감각적,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인지를 돕는 구조적 요소로는 스토리텔링과 인터랙션이 있다. <잼라이브>는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와 더불어 실시간 댓글을 통해 사회자 및 사용자 간 상호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사회자의 해설 등으로 사용자는 정보해석의 맥락 속에서 정보를 체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심리를 자극하는 요소로는 실시간 서바이벌 게임, 유머적 표현, 보상 등이다. <잼라이브>의 게임 형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유희본능에 따른 몰입을 가능하게 하며, 문제를 맞혔을 때 보상과 성취감을 준다. 또한 유머러스한 요소들을 통한 유희적 정보전달 환경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잼라이브>는 오락과 정보전달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감각적 체험, 정보이해, 몰입, 즐거움, 소통,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콘텐츠 형식으로서 익명성 및 개방성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환경 참여 및 정보 공유의 기회를 크게 확장하였으며, 다양한 장치를 통해 인터랙션과 재미를 극대화하여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몰입과 즐거움을 이끌어내고 효과적인 정보습득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콘텐츠의 이용만으로도 얻게 되는 지적 유익 및 물질적 혜택을 통해 실질적 보상과 심리적 만족감을 주며 사용자의 참여 동기를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잼라이브>의 성공 요인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잼라이브>는 정보 지식을 재미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도구이자 채널로서, 오락적 기능에만 치중하여 정보의 질이 떨어지거나 공유의 가치가 적은 정보들만이 무분별하게 남용되지 않도록, 객관적이고 유의미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선행연구가 부재한 라이브 퀴즈앱 및 <잼라이브>의 시대적 등장 배경 및 의의에 대한 연구로서 이를 바탕으로 향후 퀴즈앱의 제작 및 발전에 유의미한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주제어 : <잼라이브>, 라이브 퀴즈앱, 퀴즈쇼, 인포테인먼트, 정보디자인, 정보, 오락, 재미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3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24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E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