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영철-
dc.contributor.author황경호-
dc.date.accessioned2019-02-28T03:24:54Z-
dc.date.available2019-02-28T03:24:54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36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348en_US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공연 예술은 각박한 경쟁과 물질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사회에서 공동체적인 삶의 형성이나 인간 자신의 문제를 생각하게 해주면서 함께 어울려 즐길 수 있는 몇 안 되는 예술분야의 중심으로 그 가치를 갖고 있다. 또한, 변화해가는 사회와 문화적인 흐름에 따라서 공연예술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야하며 스타일과 표현에 있어서 대중성과 예술성을 고루 갖추어야 한다. 즉, 무용공연예술은 특정 계층만이 공유하는 예술이 아니라 사회의 대다수가 이해할 수 있는 대중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순수무용 공연은 실용무용 공연에 비해 아직 대중화가 미비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두 장르의 협업이 어떠한 시너지 효과를 내어 공연예술의 형태로 진화할 수 있는지, 현 시대의 트렌드를 활용한 무용공연예술이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작발레와 실용무용을 협업하여 성공적인 성과를 얻은 두 작품 “서울발레시어터 – 현존 (Being)”과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를 성공사례로 들어 성공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두 작품은 대중들이 쉽게 생각하지 못하는 신선한 시놉시스와 스토리텔링을 갖추었고 다양한 볼거리를 통해 관객들에게 감동과 새로운 예술적 영감을 주면서 무대 위의 무용수 혹은 배우들과 소통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대중들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 경험이 아닌 직접 눈으로 보고 느낄 수 있다는 것에 더욱 깊은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창작발레와 실용무용의 협업으로 인해 표현의 범위가 넓어졌다는 공통점과 대중들이 쉽게 접하지 못했던 스토리, 낯설지 않고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매개체를 활용해 인간 내면의 세계를 그려내는 작품으로 호응을 얻어 시대의 가속화된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대중들에게 꾸준한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무용계가 더욱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다양한 형태의 창작안무, 참신한 아이디어, 일반 관객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공연이 필요하지만, 이것들 외에도 무용을 통한 재능기부, 지방공연의 활성화, 무용 관련 교육 프로그램, 소외계층들도 무용을 쉽게 접하고 함께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창작발레와 실용무용의 협업이 무용대중화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influence of creative ballet and practical dance collaboration on dance populariza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황경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wang, Kyoung H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