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0

임화 시 연구 : '운명'을 중심으로

Title
임화 시 연구 : '운명'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 Wha's poetry : With focus on the 'Destiny'
Author
장예영
Alternative Author(s)
Jang, Ye Yeong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문제적 인물 임화의 운명을 뒤쫓고자 하였다. 임화의 생애를 통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자기비판 및 반성과 소급성이 운명 바꾸기의 구조라는 것이 이 연구가 초점을 맞춘 부분이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운명의 시어 출현 시기인 1930년대에 주목하였다. 이때 연구들이 전제하고 있는 운명론은 선재해서 결정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운명론의 인식에서 벗어나, 임화가 운명을 기정사실화하기보다는 행위를 통해 소급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조건적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바라보았다. 본 논문은 임화에게 있어 운명이란 구성하고 설정하는 것이며, 가닿아 소급적으로 바라본 후 운명을 바꾸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 다른 문제의식은 임화가 평생을 시인으로 살면서 있었던, 두 번의 결정적인 절필에 있다. 잠정적인 2번의 절필에 대해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으며, 이것의 의미를 체념과 한계 쪽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두 번의 절필이 가지는 공백의 전략적인 면을 ‘무위’의 ‘비-행동’ 관점에서 물러남 가운데 도래하는, 도약을 위한 물러섬으로 바라보았다. 또한 절필이라는 사실 자체보다 절필을 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과 이러한 선택이 가지는 전략과 구조적인 측면을 살피고자 하였다. 1953년 북한 최고 재판에서 미제 간첩 혐의로 사형 판결을 그의 마지막은 일반적으로 비극으로 읽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본 논문은 기존의 비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자신의 선택과 과정이 무의미해지는 반복 속에서 다시금 믿고 나아가는 임화의 긍정적인 면모에 주목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은 두 번의 절필이 가지는 전략적인 측면과, 생애에 있어 반복되는 소급적인 운명 바꾸기를 살펴봄으로써 절필의 공백과 운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의미를 부여하고자 집중하였다. Ⅱ장에서는 임화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운명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화가의 시」에서 보여준 ‘임화’로의 필명 확정은 그가 옳다고 믿은 카프라는 조직체와의 동일화를 추구한 결과였다. 임화의 영화인으로서 두 번의 실패를 ‘단편서사시’ 계열인 「우리 오빠와 화로」 창작을 통해 도약의 계기로, 1927년 연극 공부를 위한 도일을 실천적 마르크스주의자가 되기 위함이었다는 ‘소급성’의 개념으로 의미 부여를 하였다. 임화는 1930년 6월 ‘자기비판’과 ‘반성’을 감행하는데, 이때 중요한 점은 현재의 관점으로 1년 반 전 「우리 오빠와 화로」를 바라보는 것에 있다.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면 초기시에 나타나는 운명의 함의는 임화의 ‘선택’과 후에 지속적인 자기비판과 반성 및 소급성으로 자신의 운명을 정립하는 것에 있다. Ⅲ장에서는 중기시에 나타나는 운명과의 대결의식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임화는 1930년 「제비」 창작 및 자기비판 이후 약 3년간 잠정적 1차 절필 기간을 가진다. 1934년 임화는 단편서사시의 한계를 깨닫고 자신의 시에 대해 ‘뼉다귀’ 시라는 용어를 통해 자기비판을 감행한다. 1934년 6월 시작된 전주사건은 카프 조직 와해의 시발점이었으며, 이런 상황에서 「암흑의 정신」이란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운명’이라는 시어가 표현된다. 1935년 5월 21일 임화는 자신의 손으로 카프 해산계를 경찰서에 제출한다. 이때 임화는 자신이 준거로 삼았던 조직의 해산을 바라봄을 통해, 그가 설정한 운명의 어그러짐과 대면한다. 하지만 임화는 주체의 재건 및 ‘낭만 정신’을 앞세워 운명과 대결하고자 노력한다. ‘현해탄’ 계열의 시에서는 ‘청년’과 ‘적’이 두드러지며, 임화는 청년들을 앞세워 그들의 운명과 자신의 운명을 동일화하려고 노력한다. 중일 전쟁 이후 파시즘의 점진적인 압박 속에서 임화는 1939년 「자고 새면」을 끝으로 잠정적 2차 절필에 들어간다. 임화의 잠정적 2차 절필의 의미는 해방 이후를 맞이한 후에야 비로소 소급적으로, 다시금 시인이 되기 위한 물러섬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후기시에 나타나는 운명의 성찰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 몇 달 뒤 봉황각 좌담회에서 임화는 자기비판에 대한 다른 시각을 내놓는다. 해방이라는 것이 현재 도래했기 때문에, 바뀐 관점 아래 일제의 과거 속성을 평가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었다. 이때도 임화는 자기비판을 감행했으며, 해방 이후 창작된 「9월 12일」에서 그는 시인으로서 마지막 운명의 한 걸음을 내디딜 수 있는 용기를 달라고 부르짖고 있다. 임화는 1947년 11월 20일 월북하며, 잠시 양남수라는 필명으로 활동한다. 1950년 6월 임화는 인민군 탱크를 앞세워 ‘서울’로 돌아오는데, 이때 그의 행보는 마지막일지도 모를 시인으로서의 운명 성찰 기회를 제공해준다. 임화는 1950년 9월 인민군의 약화로 평양으로 후퇴했으며, 자강도 산골에서 문제적 작품인 「너 어느 곳에 있느냐」를 창작한다. 기존의 선전·선동 시와는 달리 딸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드러낸 이 시는, 후에 1953년 8월 6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재판소에서 사형 판결을 받는데 빌미가 된다. 이처럼 임화의 생애에 있어 운명은 선재하는 조건이 아닌, 그의 선택 가운데 바뀌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임화는 지속적인 자기비판과 반성 및 소급성을 통해 프레임이 바뀐 현실에서 과거 자신의 운명을 재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운명 바꾸기는 그의 생애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임화는 불안정한 현실과 구조 속에서도 자신의 선택을 옳다고 믿고 나아가는 사람이었다. 그가 설정한 운명은 자꾸만 어긋났으며, 임화는 때론 그것과 대결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시인이고자 했던 그의 선택은 소급적으로 숙청의 빌미가 되었지만, 이것을 비극으로만 읽을 수 없다. 임화가 운명의 끝에 돌아본 그곳에는, 용기 있는 시인이자 청년이었던 자신이 서있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follow up the destiny of the problematic person, Im Wha.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self-criticism, reflection, and retroactivity that persisted through the life of Im Wha. Previous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1930s when the word destiny emerged. The ‘destiny’ from the previous studies was a determined thing in advance. This paper assumes that Im Wha recognized ‘destiny’ as a conditional thing which can be changed retroactively depending on one’s act rather than a established fact. This paper assumes that for Im Wha destiny can be constituted and set up artificially, and can be changed after seeing it retroactively. Another issue of this paper lies in two crucial cessation of his writing career as a poet. The previous researches on Im Wha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on his cessation of writing, and the meaning of that cessation is explained as his resignation and limitations. This study looked at the strategic aspects of Im Wha’s cessation of writing as a contraction before the leap, from the view of inoperative ‘non – agi’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concentrate on the situation that made Im Wha cease his writing career and the strategy and structural aspect of this choice. Im Wha was sentenced to death for a US spy at the North Korean Supreme Court in 1953, which is generally seen as a tragedy. This study, however, is beyond the preexisting viewpoint of that tragedy, and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 of Im Wha who believed in himself and kept going even though his choices and progresses had became meaningless repeatedly. On the basis of this, this study concentrated on giving new meaning to Im Wha’s blankness that came from his cessation and his ‘destiny’ by taking notice of the strategic aspects of the two cessations and the retroactive change of destiny repeated through Im Wha’s whole lifetime. In chapter Ⅱ, this study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destiny’ in the early poetry of Im Wha. The pen name of ‘Im Wha’ shown in “A poetry of a painter” was the result of pursuing the identification with the organization “KAPF” which he believed was right. This study read Im Wha’s failure as a film-maker into the chance of leap by the creation of “My brother and a brazier” which is a sort of short epic, and this study read Im Wha’s asylum to Japan to study play into retroactivity to be a actional Marxist. In June 1930, Im Wha conducted ‘self-criticism’ and ‘reflexion’.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he looked at “My brother and a brazier”-a year and a half-old work-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In summary, the implication of destiny in his early poetry lies in establishing Im Wha’s own destiny through the "choice" and later self-criticism, reflexion, and retroactivity. In chapter Ⅲ, this study tried to view the consciousness of confrontation with the destiny that had appeared in the Im Wha’s middle period. Im Wha had a provisional primary cessation of writing period for about three years after the creation of “Swallow” in 1930 and self-criticism of it. In 1934 Im Wha realized the limitations of short epic poetry and made his own criticism with the term ‘Ppyeogdagui’ about his poetry. The Jeonju incident, which began in June 1934,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llapse of KAPF. In this context, the so-called ‘destiny’ appear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work “The Spirit of Darkness.” On May 21, 1935, Im Wha, with his own hand, submitted the report of KAPF’s dissolution to the police station. At this time, he saw the disintegration of the organization he has chosen as a basis(reference group, criterion group), and confronted the contraction of his destiny. However, Im Wha tried to confront destiny with the rebuilding of a sense of sovereignty and the ‘romantic spirit’. In the poetry of ‘Hyunhaetan’, the word ‘youth’ and ‘enemy’ stick out, and Im Wha tried to do identification youth’s destiny with his destiny. In the gradual pressure of fascism after the Sino-Japanese War, Im Wha announced a provisional second cessation of writing in 1939, with his last poem “After awakening.” The implication of the second cessation of Im Wha can be read as a contraction to be a poet again only after the liberation retroactively. In chapter Ⅳ, this study tried to discuss the reflexion of destiny seen in Im Wha’s late poetry. A few months after the liberation on Aug. 15, 1945, Im Wha gave a different view on self-criticism at the panel discussion in Bonghwanggak. It was argued that since liberation had came, it was necessary to evaluate the past attributes of Japan under the changed viewpoint. At this time, he made a self-criticism again, and in ‘September 12’, which was written after the liberation, he cried for the courage to take one step of his last destiny as a poet. Im Wha defected to North Korea on November 20, 1947, and worked for a while under the pen name Yang Nam-soo. In June 1950, Im Wha returned to Seoul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tank, and his achievements at this times give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his destiny as a poet which may be the last time. In September 1950, Im Wha retreated to Pyongyang with the weakening of the People's Army, and created a problematic piece, “Where Are You”, in the backwoods of Jagang-do. The poem, which unveiled the love and nostalgia for his daughter unlike his previous poem of instigation and propaganda, later became a reason of Im Wha’s death sentence in the Supreme Cour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n August 6, 1953. Like this, destiny through the life of Im Wha appears to keep changing depending on his choices, not the preexisting condition. At the same time, he redefine his own destiny in the reality with the frame changed through continuous self criticism, reflexion and retroactivity. This change of destiny can be a keyword that penetrates his life. Im Wha was a person who believed his choice to be right even in that unstable reality and structure. The destiny he had set up has been constantly shifted, and Im Wha sometimes shows a confrontation and fight with it. Finally, his choice to be a poet became a pretext for his retrenchment, but it can not be read as just a tragedy. When Im Wha looks back, at the end of his ‘destiny’, there would be himself standing aloft as a youth and a courageous poe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2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2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