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4 0

북한 사범대학 문법 교재 ˂조선문화어˃ 분석

Title
북한 사범대학 문법 교재 ˂조선문화어˃ 분석
Other Titles
Grammar textbook of North Korea College of Education Analysis of ˂Joseonmunhwaeo ˃
Author
주영훈
Alternative Author(s)
Ju, Young Hun
Advisor(s)
이삼형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북한의 사범대학 문법교제인 󰡔조선문화어󰡕를 대상으로 북한의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단 이후 60 여년이 지나면서, 남북의 어휘와 문법은 적지 않은 차이가 생겼다. 이러한 어휘와 문법의 이질화는 남북의 체제와 이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 크며, 이는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다. 어휘와 문법 이질화의 극복 방안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현재 남북의 상황을 고려할 때 남북이 함께 볼 수 있는 학교 문법서를 편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안이라 생각한다. 학교 문법서의 편찬 이전에 남북의 학교 문법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필수적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문화어󰡕의 분석 이전에 북한 문법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북한의 언어관을 스탈린의 언어관과 김일성의 언어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스탈린과 김일성의 언어관을 통하여 나타난 주체언어이론에 입각한 북한의 언어정책을 시기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북한의 언어관과 언어정책의 흐름과 방향을 알아보고 학교 문법에 그 내용들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사범대학 문법교재인 󰡔조선문화어󰡕를 그 구성과 내용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성에서는 각 단원의 구성과 기술방식 등을 살피었다. 내용에서는 󰡔조선문화어󰡕를 어음론, 어휘론, 품사론, 형태론, 문장론의 단원으로 나누어 남한의 중등학교 문법, 북한의 일반적인 문법서, 북한의 중등 문법 교과서와 비교하여 󰡔조선문화어󰡕가 북한의 학교 문법에서 가지는 위치와 그 의의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조선문화어󰡕가 북한의 사범대학 학생들이 교사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칠 때 가르침의 지침이 될 수 있는 지도서와 같은 성격을 띠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의 학교 문법에 대한 더 깊은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grammar education in North Korea, focusing on the ˂Joseonmunhwaeo˃, a grammar teacher of North Korea. Over 60 years after the division,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vocabulary and grammar of North and South. This heterogeneity of vocabulary and grammar i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 and ideology of North and South, which is difficult to be re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 are many ways to overcome vocabulary and grammar heterogeneity, but consider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north and south, it is the most appropriate way to compile the school grammar book that the two Koreas can see togethe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school grammar of North and South prior to the compilation of school grammar. In this study, we focused on Stalin's and Kim's view of the North's linguistic syste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asis of North Korean grammar, before the analysis of oseJoseonMunhwaeo˃. It also looked at the timing of North Korea's language policies based on the subject language theory that appeared through Stalin and Kim Il Sung's linguistic views. Through this, we looked at the flow and direction of language policy in North Korea and how they were reflected in school grammar. In this study, ˂Joseonmunhwaeo>, a grammar textbook of North Korea's college of educa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its composition and content. The organization looked at the composition and technique of each unit. In the text, we divided ˂JoseonMunhwaeo˃ into members of phonology, lexicology, parts of speech, morphology, and syntax, to find out the location and meaning of ˂JoseonMunghwa˃ in North Korea's school grammar compared to South Korea's secondary school grammar, North Korea's general grammar textbook. In this study, Joseonmunhwaeo˃ analyzed the fact that North Korean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are like tutorials that can be a guide for teaching when they are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 deepe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school gramma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27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04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