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0

다수준 사회적 관계모형을 통한 구성원 이자간 긍정관계정서에 대한 연구: 자기효능감, 일 열의, 과업도움 요청을 중심으로

Title
다수준 사회적 관계모형을 통한 구성원 이자간 긍정관계정서에 대한 연구: 자기효능감, 일 열의, 과업도움 요청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f Positive Relational Affect in Dyadic Relationships Using Multilevel Social Relations Model: Investigating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Positive Relational Affect
Author
임희영
Alternative Author(s)
Lim, Hee Young
Advisor(s)
김민수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조직 내 과업 수행의 단위는 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팀 내 사회적으로 배태된 구성원 간 관계와 상호작용에 대한 조직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Grant, 2007). 관계정서(positive relational affect)란 팀 내 개인 구성원이 특정 상대방과 상호작용하며 느끼는 정서이다(Casciaro, 2014). 기존의 정서 연구들은 개인 수준과 팀 수준에서 많이 이루어졌으나, 이자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매일의 상태(state) 정서를 살펴본 연구는 드물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팀 내 구성원 간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매일의 긍정정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긍정관계정서(positive relational affect)라고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관계정서가 발생하는 원인과 그 결과를 관계 수준과 개인 수준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5일 동안 38개 팀, 173명, 634쌍의 이자간 관계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3170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이자간 관계는 라운드로빈 설계로 측정하였는데, 팀 내 개인 구성원이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원에 대하여 서로 응답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문지는 총 4가지 유형으로, 측정 일에 따른 2가지 유형과 측정 변수에 따른 2가지 유형으로 분리하여 구성하였다. 1일차에는 개인 간 수준과 관계 간 수준을, 1일차부터 5일차까지는 개인 내 수준과 관계 내 수준의 변수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다수준 교차분류모형과 교차지연모형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분석 모형은 이자간 관계 수준, 개인 구성원 수준, 대상 구성원 수준을 모두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는 다수준 교차분류모형이다. 먼저, 관계 수준에서의 가설 검증은 5일 동안 반복 측정된 라운드로빈 설계 자료를 활용하여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팀 내 개인 구성원이 특정 대상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서 긍정정서를 느끼면 이후에 그 대상 구성원에게 과업도움 요청을 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은 구성원들의 긍정관계정서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에서 긍정정서를 느끼는 개인은 일 열의를 경험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첫째, 관계에서의 정서를 재개념화하였고, 둘째, 일 열의의 선행요인을 관계 수준까지 확장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개인 정서 연구와 팀 정서 연구 간의 연결고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다고 하겠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팀 내 협업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과업도움 요청의 선행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구성원 간에 어떤 상호작용이 발생하는지 관심을 가질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개별 개인의 정서관리뿐만 아니라 조직 내 이자간 관계 혹은 팀에서 발생하는 정서를 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Recently in workplaces, a unit of task performance in the organization has recently been team-driven. As a result, the organization’s interest in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among socially embedded members in the team is also increasing and the study of relationships has become essential to management theories. A positive relational affect can be defined as a dyadic concept that an actor tends to feel positive affectivity toward a particular partner when interacting with each other. While traditional studies on emotion were conducted at an individual and team level,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emphasize the daily positive affect that arises from interactions among members within the tea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170 data points were collected over five days in a survey of 38 teams, 173 individuals, and 634 dyads from various companies in Korea. In particular, the dyads were measured by the round-robin design, which is characterized by all members of the team responding to each oth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 analyzed the data using multilevel cross-classified model and cross-lagged model with Mplus 7.0.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relational affect positively related to task assistance seeking and actor’s work engagemen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 state self-efficacy and positive relational affect was not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affect literature and organization. First, this study identify a relational affect occurred in dyad level. Secondly, this study broaden the scope of antecedent of work engagement from individual level to dyad level. In addition, my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motions generated by interactions and look for ways of interpersonal emotional manage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2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92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TRATEGIC MANAGEMENT(전략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