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8 0

한양도성 성벽부의 훼철과 주변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한양도성 성벽부의 훼철과 주변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truction of the Seoul City Wall except the gate parts and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urban structure: between 1910s and 1930s
Author
이도경
Alternative Author(s)
Lee, Do-Gyeong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의 도성으로서 500여 년간 지속된 한양도성이 훼철되면서 주변 도시조직에 미친 영향과 관찰되는 현상에 관하여 성문과 그 주변 지역을 제외한 성벽부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한양도성은 중세 성곽에 속하는 물리적인 방벽이자 행정적, 제도적 경계였다. 한양도성의 넓은 범위와 군사방어시설이 거의 없는 단일벽 구조는 그 자체의 물리적인 유효성보다는 조선의 법적 관리와 보호, 역할의 부여가 큰 역할을 했다. 따라서 인정과 파루라고 불리는 야간통행금지 제도가 폐지되고 상시 성문이 열려있게 된 한양도성은 도성의 권위를 잃어 도시의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길고 얇은 벽에 가까웠고 근대도시로 이행하는 경성의 팽창과 충돌했다. 일제강점기 동안 한양도성 성벽부 곳곳에서 벌어지는 훼철은 본래의 역할을 잃은 도성의 혼란과 관련있다. 이때 성벽의 훼철에 의해 그 주변의 도시조직에 발생하는 현상과, 그 중에서도 훼철된 후에도 오랫동안 성벽이 존재했던 탓에 도시가 관성적으로 인식했을 것으로 보이는 가상의 경계가 어떻게 지속되거나 소멸되는지를 고찰하여, 근대 시기 중세 성곽의 존재 의미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한양도성 성벽부의 훼철은 각각의 지역에서 지역적인 배경이나 지형, 거주민의 생활양식에 따라 제각기 다른 현상을 보이지만 각각의 훼철 케이스를 비교·대조하고 종합하여 보면 도시민의 인식 속에 ‘도성 안’ 또는 ‘사대문 안’과 같이 중세에서 통용되던 공간 구분이 근대에 들어서도 오랜 시간 관성을 가지고 존재했던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경성이라는 근대 도시를 분석하는 데에 한양도성이라는 중세 성곽이 단순히 팽창으로 인해 철거된 것으로 의의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와 흔적이 도시조직에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을 의미한다.; The destruction of the Seoul City Wall sustained for 500 years as city wall of Joseon Dynasty influenced the surrounding urban structure. This research studied the influence and phenomenon caused by the destruction the Seoul City Wall focusing on the wall parts except the gate parts and around. The Seoul City Wall is a physical barrier belonging to medieval city wall, and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boundary. Its single wall structure surrounding the full extent of the city with little fortifications had obtained its valid position by the legal regulation and protection of Joseon dynasty rather than physical body itself. So the Joseon’s curfew called Injung and Paroo(they are actually the time bells) was abolished, and the Seoul City Wall was opened at all time, which make it lost the authority of city wall. The wall descended to just a long, thin wall crossing the middle of the city conflicted with expansion of Keijo moving forward to the modern city. The destructions throughout the wall parts of the Seoul City Wal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are related to confusion because the wall lost its role. This research reviews the meaning of existence of the middle age city wall in modern era by studying how virtual boundaries last or lapsed of which seems to be aware with inertia after the city wall destructed. The destruction on the wall parts of the Seoul City Wall appeared different phenomenon each other depending on their regional background, topography, the life style of the residents. But by comparing, contrasting and combining each destructions, it tells us that the space division of the middle age still had obtained with the urban inertia like inside or outside the city wall, until the modern times in the natives’ perception. The medieval city wall, the Seoul City Wall, did not end its meaning just by the expansion of the modern city, Keijo. It means the existence and trace of the wall exert its influence to the surrounding urban structure consistentl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17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4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