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기용-
dc.contributor.author김보영-
dc.date.accessioned2019-02-28T03:24:08Z-
dc.date.available2019-02-28T03:24:08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13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384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시멘트 화합물과의 화학반응을 통한 염소이온의 고정화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콘크리트 내부 염소이온 타입을 제시하였다. 염소이온 고정화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로서 OPC와 GGBS를 첨가한 경우와 온도 및 침출시간, 산 농도에 따른 염소이온 고정화능력을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혼화재를 첨가하였을 경우 염소이온의 고정화능력은 재령 7일, 28일 91일 모두 GGBS>OPC의 순으로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혼합된 시멘트 페이스트 내의 염소이온 농도 증가는 높은 농도에서 시멘트 페이스트의 고정화능력 저하로 인해 고정화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 농도 증가에 따른 추출되는 염소이온량은 혼입 염소이온량 1 ~ 3% 모두 산의 농도가 일정 농도까지 증가할 때, 총염소이온 대비 추출된 염소이온의 양은 각각 56%, 58%, 59%로 측정되었다. 혼합 염소이온의 양이 증가할수록 자유염소이온의 증가하며 고정염소이온의 양은 각각 26.16, 25.32, 24.68%로 감소하나 거의 일정량으로 수렴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강산에서도 추출되지 않는 염소이온이 16%가량 존재하는데 이는 난용성염소이온으로 완전하게 고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정염화물의 정량화를 위해 X선 회절분석(XRD)으로 염소이온과 시멘트의 화학반응을 통한 화합물을 확인하고 Friedel’s salt의 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화합물 중 Friedel’s salt 양은 3단계(1,2,3%; 결합재 중량 대비)의 혼입 염소이온량에서 각각 6.09, 7.75, 7.44 (%wt)로 염소이온이 Friedel’s salt로 고정화되는 양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콘크리트 내의 염소이온 고정화 능력에 대한 정량적 평가-
dc.title.alternativeQuantitative Assessment of Chloride Binding Capacity in Concret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보영-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o Young KIM-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