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3 0

혈액투석 환자의 통합적 동정맥루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itle
혈액투석 환자의 통합적 동정맥루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 of Integrated AVF(arteriovenous Fistula) Self-Management Program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Author
윤미영
Alternative Author(s)
Yoon, Mi Young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 요지 최근 통계에 따르면, 신대체요법을 시행하는 환자의 83%가 혈액투석을 받 는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신장학회, 2018). 혈액투석 환자들은 투석 이전과 다 른 기계의존적 삶에 적응하기 위해 관련지식 습득이 필요하다. 지식향상은 건 강을 포함한 신체적 측면, 입원과 관련된 경제적 측면, 또한 삶의 질과 같은 심리적 측면과도 연관되는 문제이다. 지식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최근에는 스 마트폰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해지고 있어(기은정, 2017; 이수복, 정필연, 이명희, 2015), 이는 대상자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혈액투석 환자들은 투석의 필수과정으로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AVF)가 필요하다(Akshaar, & Sanjay, 2016). 국내의 경우 2년 이내에 40% 에서 조기폐쇄가 발생되며, 입원율을 증가시켜 경제적,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 키는 원인이다(Haller, Gutjahr, Kramar, Harnoncourt, & Oberbauer, 2011). 동정맥루 강화 운동은 혈전예방과 기능유지를 위해 필요하나(Heiwe, Johnsson, Wengestrom, & Jacobson, 2010), 선행 방법들은 동정맥루 기능 을 환자 스스로 점검하는 자가관리 측면은 미흡하여(Kong, & Lee et al., 2014), 이를 보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한편, 고효율 투석 등 혈액투석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은 투석과 관련 된 다양한 증상들을 경험한다. 근골격계 증상으로 근육경련, 근육통, 관절통 등을 보고하였으나(Fatma, Berat, Aliye, Alparslan, & Ozge, 2016), 증상 및 중재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혈액투석 환 자들이 경험하는 증상들은 일반인이 경험하는 것과는 다르며(Weisbord et al., 2007),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Bandura(1997)의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하여, 혈액투석 환자에게 vi 통합적 동정맥루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검증을 위해 설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H대학교 병원의 생명윤리심의위 원회(IRB)의 승인을 받아 시행되었으며(IRB NO. HYUH 2018-04-021-003), 자료 수집은 기간은 2018년 7월 31일부터 9월 23일 까지였다. 사전실태조사 와 전문가 조언, 문헌고찰을 근거로, ‘혈액투석 환자의 통합적 동정맥루 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투석을 하지 않는 날에 주 3회 시행하여, 8주 간 총 24회를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동질성 검증에서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결 혼유무, 경제수준과 질병관련 특성을 검증한 결과,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하였다. 연구변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동정맥루 지식정도, 악력, 동정맥루 혈관직경, 상지 불편감을 검증한 결과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총 8주에 걸친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t=5.097, p<.001)과 결과기대(t=6.126, p<.001)가 유의하게 높아져 가설 1과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지식교육을 중재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식정 도가 유의하게 높아져(t=-9.076, p<.001), 가설 3은 지지되었다. 실험군은 대 조군에 비해 악력이 유의하게 높아져(t=4.017, p<.001), 가설 4도 지지되었으 며, 실험군은 동정맥루 직경이 유의하게 넓어져(t=7.270, p<.001), 가설 5는 지지되었다. 또한, 실험군은 상지 불편감이 유의하게 낮아져(t=4.555, p<.001), 가설 6은 지지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스마트폰 동영상을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관점에서 공간과 시 간 제약을 최소화 하였으며, 간호사의 관점에서, 동정맥루 관련지식 및 직경확 장과 함께 상지 불편감 완화를 위한 간호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 다. 방법이 어렵지 않아 임상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이라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11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4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