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5 0

직무환경요인이 직장생활의 질 (QWL)과 삶의 질 (QL)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직무환경요인이 직장생활의 질 (QWL)과 삶의 질 (QL)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 factors on the Quality of Work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Focused on Airline Cabin Crews
Author
김정희
Alternative Author(s)
Kim, Jung-Hee
Advisor(s)
현 성 협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 사회는 경제 발전을 이루고 선진사회로 성장하며 물질적 풍요와 생활 환경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실제 느끼는 삶의 만족도나 행복 수준은 경제성장의 위상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양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 사회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개인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개인의 삶 안에는 가정과 직장이 있으며, 직장생활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따라서 직장생활과 삶의 균형은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의 노동 산업과 관련한 연구에서 서비스 산업 근로자들의 낮은 근무의 질에 대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각종 언론에서 사회적 관심을 끌며 보도된 바와 같이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은 직장생활의 힘듦과 근무환경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개선을 강구하고 있다. 항공사는 서비스 산업을 대표하며, 항공사 종사자의 근로의 질은 생산성과 직결되기에 직원들의 근로의 질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최근 발표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일반직 근로자들의 직무와 직장생활의 질 간의 영향관계를 다룬 다수의 연구가 있지만 항공사 객실 승무원 같은 차별적인 직무환경을 가진 직군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특수한 직무 환경과 관련한 실증적 연구와 그 한계점을 고려하여 직장 내 어떠한 근무환경이 직장생활의 질에 가장 악 영향을 주는 요인인지 밝혀내기 위해 직무환경 요소를 이론에 입각하여 분류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다룬 직무만족으로써의 근로의 질이 아닌 직장 생활의 질로 포괄적인 개념을 구성 요소로 하여 삶의 질과의 영향 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첫째, 객실 승무원의 직무환경을 관계적 요인(팀 내 악습, 동료관계 갈등), 업무적 요인(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역할 과부하), 제도적 요인(스케줄 유연성, 징계)으로 나누었다. 둘째, 7개의 독립변수인 직무환경 요인들이 사회인지이론을 기반으로 구성한 직장생활의 질(QWL)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직장 생활과 삶의 질 간의 영향 관계를 입증하였다. 조사 결과의 실증적 입증을 위하여 총 8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접수는 2018년 8월, 한 달간 시행하였으며 현재 근무 중인 객실 승무원 25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을 통하여 자료처리 되었다. 먼저 신뢰도와 타당성 요인 분석을 시행하고,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객실 승무원의 직무환경 요인과 직장생활의 질의 관계를 증명하는 7개의 가설 중 4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직무환경 요소 중 관계적 요인에는 동료관계 갈등이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업무적 요인에서는 역할 모호성, 제도적 요인에서는 스케줄 유연성과, 징계가 유의미한 관계를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장생활의 질(QWL)이 삶의 질(QL)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도 채택이 되며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여 선행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개인의 삶을 영위함에 있어 행복과 삶의 안정은 중요한 부분이다. 직장은 개인의 삶에 대한 평가에 상당부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장생활의 질(QWL)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은 회사의 제도적인 측면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제도적인 안정과 지원은 직장생활의 질(QWL)뿐 아니라 직원의 개인 삶의 질(QL)에도 영향을 미치기에 중요한 장치가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간 삶의 질(QL)을 높이는 일환으로 직원 개개인의 직장생활의 질(QWL)을 개선 할 수 있도록 개인과 조직, 사회 모두의 노력과 실무적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며, 향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직장 생활의 질(QWL)과 삶의 질(QL)을 높이는데 이바지 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핵심 용어: 직무환경, 직무환경 요인, 동기요인, 위생요인, 사회적 요인, 팀 내 악습, 동료관계 갈등,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 과부하, 스케줄 유연성, 징계, 사회인지이론, 자기 효능감, 자아 존중감, 직장생활의 질, QWL, 삶의 질, QL, 욕구단계이론, ERG이론, 자아실현, 행복; Although Korean society has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developed into an advanced society, and improved material abundance and living environmen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at people actually feel is lower than that of economic growth. There is a rising need for social indicators not only in terms of quantitative development, but also in terms of quality, an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Within personal life is his or her home and work, and a working lif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balance between working life and lif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In the study on the labor industry in Korea,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about the low working quality of the service industry workers. As reported by various media outlets recently in public interest, cabin crews at airlines are seeking improvements, expressing the difficulties of their working life and working conditions. The airline shall be interested in the study of the quality of work of its employees as it represents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quality of work of its employees is directly related to productivity. In recent studie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and the quality of life of general workers. However, empirical studies have not yet been conducted on occupations with differentiated job environments such as airline cabin crews. This study classified the job environment elements based on theory in order to find out which work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is the most adversely affecting the quality of working life, taking into account the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the specific job environment of the airline cabin crews and its limitations. The aim wa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affecting between quality of life and that of working life by making a comprehensive concept as quality of working life a component, not the quality of work as job satisfaction covered by previous research.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first, the task environment of the flight crew was divided into relational factors (bad practices within the team, peer conflicts), business factor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and institutional factors (scheduled flexibility, disciplinary). Second, the impact of seven independent variables, job environment factors, on the quality of work life (QWL), which were formed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was analyzed. Third, it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affecting between work life and quality of life. A total of eight hypotheses were set up for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survey result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ugust 2018 for a month, and a sample of 250 flight attendants currently on duty was selected.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through SPSS Statistics 23.0. First, reliability and feasibility factors were analyz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iagnose problems of multicollinearity. As a result, four hypotheses were selected among seven ones that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 factors and quality of working life of cabin crews. Peer relationship conflic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 relational factor among job environment factors, role ambiguity in job factors, schedule flexibility and discipline in institutional factors. Finally, a hypothesis on the effect of quality of work life (QWL) on quality of life (QL) was adopted and meaningful conclusions were drawn to support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Happiness and stability of life are an important part in running personal life. The workplace can be an important indicator that reflects much in the evaluation of the individual's lif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ain factor of lowering QWL was the institutional aspect of the company. Therefore, institutional stability and support will be an important tool of affecting not only the quality of work life (QWL) but also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Q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and practical concerns of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y alike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 life (QWL) of individual employees as a par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QL), and I hope that the research tha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QL) and quality of work life (QWL) will be continued through various studies. Key words: job environment, job environment factors, motivation factors, hygiene factors, social factors, bad practices within the team, peer relationship conflicts, role conflicts,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schedule flexibility, discipline, social cognitive theory, self-efficacy, self-respect, the quality of work life, QWL, the quality of life, QL, desire stage theory, ERG theory, self-realization, happines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08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3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TOURISM[S](국제관광대학원) > INTERNATIONAL TOURISM(국제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