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1 0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자본과 진로결정과정의 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자본과 진로결정과정의 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of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Author
정다운
Alternative Author(s)
Jung, Dawoon
Advisor(s)
김병수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진로결정이라는 주요 과업에 직면한 북한이탈청소년의 진로결정과정에 문화자본이 작용하는 양상을 살펴보고 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구체적인 진로결정 행위로서 대학에 진학하였거나 이미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만 24세 이하 북한이탈청소년들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이들의 문화자본(문화예술 분야, 지적 분야, 가족적 관습)과 진로결정과정(직업결정, 타협과정)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이 진로결정 및 관련 성취를 위하여 선택한 문화자본 상호작용 전략은 ‘문화자본 배제’, ‘문화자본 활용’, ‘문화자본 충원’으로 나타났다. ‘문화자본 배제’는 북한에서 획득한 문화자본이 진로결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거나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경우 이를 배제하는 전략이며, ‘문화자본 활용’은 북한 또는 중국에서 성장하면서 획득한 문화자본을 진로결정 및 관련 성취에 적절히 활용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문화자본 충원’은 진로결정 및 관련 성취를 위하여 자신에게 부족한 문화자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충원하는 전략이다. ‘문화자본 충원’은 기존의 문화자본을 배제하거나 활용하면서 중복 활용할 수 있는 전략으로, 기존의 문화자본을 배제하고 새로운 문화자본을 충원하거나, 기존의 문화자본을 활용함과 동시에 새로운 문화자본을 충원할 수도 있다. 상술한 문화자본 상호작용 전략들이 다양한 양상으로 작용한 결과로서 나타난 북한이탈청소년의 진로결정과정 유형은 ‘연속형’, ‘발견형’, ‘타협형’, ‘탐색형’, ‘혼란형’으로 세분화되었다. 문화자본의 작용 결과 재북 시와 동일한 진로 목표를 유지하고 있거나 한국에서 새롭게 진로를 결정한 연구참여자들은 성취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었으며, 진로미결정 상태의 연구참여자들 중 일부는 진로 탐색과 실력 향상에 집중하였다. 한편, 진로미결정 상태로 고민과 혼란 상태에 있는 연구참여자들은 진로 관련 상담 및 조언을 구할 대상이 부재하다는 공통적인 특성을 가져 대안 마련에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북한이탈청소년의 진로결정과정에 나타난 문화자본 관련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의 지적 분야의 문화자본인 국내 입국 전 교육 수준은 한국에서의 진로결정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단순히 진로 목표의 성취를 좌우하는 실력 차원의 영향뿐 아니라, 진로 목표 설정과 관련된 정보 획득, 진로 포부 및 효능감 등 전반적인 과정에서의 영향을 의미한다. 그러나 부모의 학력, 부모 및 본인의 독서량은 진로결정과정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음악회, 전시회, 미술작품 관람 등 문화예술 관련 경험은 평범한 북한주민들과는 거리가 먼 활동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문화자본이 북한이탈청소년의 진로결정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없다. 전문 음악교육을 받아 문화예술 관련 문화자본이 풍부하였던 일부 연구참여자들은 재북 시 차별적인 경험을 하였지만 그로 인해 진로결정과정에서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셋째, 가족적 관습과 관련된 문화자본인 부모의 진로 관련 관심 및 지지, 부모의 직업, 가정에서 추구하는 가치관 등은 북한이탈청소년의 진로결정에 작용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 부모 및 가족의 문화자본이 청소년의 진로결정과정에 늘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한 사례도 일부 발견되었다. 넷째, 북한이탈청소년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들은 정보 획득 능력(지적 분야의 문화자본) 결여와 관계가 있으며, 북한에서 체득한 수동적인 생활양식도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기존의 문화자본을 배제한 연구참여자들은 물론 기존의 문화자본을 활용한 연구참여자들도 진로결정과정에 있어 새로운 문화자본의 충원(교육을 통한 지적 분야의 문화자본 충원, 문화예술 활동 경험 확대를 통한 사회적응 노력, 정서적 지지를 받을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을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을 보았을 때, 문화자본과 진로결정 및 관련 성취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은 국가에 의해 계획, 생산, 배포되는 문화적 요소에 대한 개인의 취향이나 선호를 드러낼 수 없는 사회이기 때문에 Bourdieu의 문화자본과 계급재생산 이론을 단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우며, 본 연구에 참여한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경우 삶의 배경이 북한사회에서 한국사회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문화자본과 진로결정과정의 관계에서 유의한 항목들이 발견된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자본과 진로결정과정의 관계를 규명하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한국청소년에 집중되어 있던 진로결정 관련 연구의 범위를 북한이탈청소년으로 확장하고, 연구 대상 및 진로결정 유형의 다양성이 결여된 선행연구를 보완한다. 둘째, 북한이탈청소년의 진로결정 요인으로서 주목받지 않았던 문화자본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관련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셋째, 북한이탈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첫걸음인 진로결정과정에 나타난 다양한 특징을 소개함으로써 관련 지원 체계의 구체화 및 다각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ways that cultural capital work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and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goal, ground theory was applied during in-depth interviews with twenty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whose age range from 20 to 24. The collected data contains participants’ cultural capital(cultural and artistic field, intellectual field, and family culture)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career decision and compromise process). The cultural capital interaction strategies that the participants chose for their career decisions and related achievements were ‘exclusion’, ‘use’, and ‘supplement'. As a result of the cultural capital interaction strategies above, the types of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of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were summarized in 5 types: continuation type, new-found type, compromise type, exploration type, and confusion typ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cultural capital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that educational background in North Korea which is a part of the intellectual cultural capital is closely related to the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It affects not only the achievement of career goals, but also the overall process such as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setting career goals,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arents' and their own reading volume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Second,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such as concerts and exhibitions were far from ordinary life of North Korean, 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ultural capital of artistic field directly impacted on the participants’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Some students who received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in North Kore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Third, it is found that the parental concerns and support regarding children’s career, parents’ occupation, and family value which are related to family culture are th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act on the participants’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However, it did not always positively influence and some cases showed negative effect. Fourth, the difficulties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are related to the lack of information acquisition(cultural capital of intellectual field) and the passive lifestyle acquired in North Korea. Fifth,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cultural capital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as most of the participants, not only those who excluded cultural capital from the past but also those who used cultural capital from the past chose to supplement their cultural capital by being educated, experiencing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networking with peop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to North Korean society because people in there cannot express preference for the cultural products which are planned,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government.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because the background of participants was shifted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This study that focused on the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supplements previous researches which mainly dealt with South Korean adolescents’ career decision making. Moreover, it presents a new perspective by applying the concept of cultural capital that has not been considered important factor of career decision making. Lastly, it shows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of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and provides basic data to arrange specified and diversified support system for North Korean defecto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05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0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