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U - 심원술 DA - 2016/08 PY - 2016 UR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4960796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607 AB - 본 연구는 Karasek의 직무요구-직무통제-사회적 지원의 이론적 모형을 토대로 개인의 목표지향성과 동기유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은 이러한 이론적 모형을 통해 직무요구가 주어졌을 때 개인이 인지하는 직무통제 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소진감이나 만족도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에만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그 과정에서 각기 다른 개인의 목표지향성에 따라그 효과는 달라질 수 있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깊게고찰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 활성화 이론과 자기결정이론을 바탕으로 기존 연구자들이 간과했던 점을 보완 및 확장함으로써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직무요구는 개인의 성과지향성 및 숙달지향성과 모두 정의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지향성은 외적동기유발과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숙달지향성은 내적동기유발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동기유발에 대한 목표지향성, 직무통제, 사회적 지원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성과지향적인 개인은 직무통제 수준은 낮고 사회적 지원이 높을 때 외적동기유발의 수준이 가장 높은 반면, 숙달지향적인 개인은직무통제 수준과 사회적 지원이 모두 높을 때 내적동기유발 수준이 가장 높았다. 즉, 사회적 지원의 효과는 동일했지만 직무통제에 대한 효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적 모형을 보다 심층적으로 보완 및 확장하였으며, 실무적인 측면에서 조직구성원들의 동기유발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인의 목표지향성에 따라 상사나 관리자들이 사회적 지원과 직무통제 수준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job motivation based on Karasek’s job demand-job control-social support model. Prior researchers have overlooked the aspects of individuals’ different goal orientations and job motivations. Drawing upon trait activation theor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we developed and tested an integrative model for the interaction effects of goal orientation, job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individuals’ motiv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job demand is positively related to individuals’ performance and mastery orientations. Also, performance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extrinsic motivation and mastery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We then examined the three-way interactions among goal orientation, job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job motivation. Performance-oriented individual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xtrinsic motivation in the job environment with low-job control and high-social support. In contrast, mastery-oriented individual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job environment with high-job control and high-social support.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were consistent, while the effects of job control were different.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by expanding the existing theoretical model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how managers and supervisors should effectively use job control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individual’s goal orient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ir job motivations. PB - 한국인사관리학회 KW - 목표지향성 KW - 동기유발 KW - 직무요구 KW - 직무통제 KW - 사회적 지원 KW - Goal Orientation KW - Job Motivation KW - Job Demand KW - Job Control KW - Social Support TI - 직무요구, 직무통제, 사회적 지원의 이론적 모형을 통한 목표지향성과 동기유발의 관계 연구 IS - 3 VL - 40 T2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