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이주현 DA - 2017/08 PY - 2017 UR - http://hdl.handle.net/20.500.11754/33313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363 AB - 오늘날 첨단기술의 발달과 함께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은 풍족한 물질사회를 도래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높아진 생활수준은 구매자의 소비행태를 변화시키게 되었다. 구매자들은 기능(機能)이 아닌 기호(嗜好)를 중심으로 하는 감성적 소비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소비를 통해 자신의 개성과 가치를 정립하여 타인과의 차별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화장품은 대표적인 고관여(High involvement) 감성상품으로서 기호성이 강한 제품의 특징을 가진다. 화장품 브랜드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그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소비자가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본인의 개성을 표출하기를 원한다. 이를 위하여 화장품 브랜드와 고객 사이에 유대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하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는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존재하는데 화장품 브랜드 내에서 사용되는 매체는 화장품 용기디자인이다. 화장품 용기는 제품 그 자체가 포장용기이며 내용물의 컨셉을 이미지화하여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화장품 시장 내에서 발생한 폭발적인 신규 브랜드 유입 및 브랜드 확장은 화장품 산업 시장을 포화상태로 만들었으며 브랜드 간의 기술력 및 품질을 무력화시키게 되었다. 또한 유사 브랜드 컨셉의 보편화는 각 브랜드들이 일률적인 화장품 용기디자인을 가지게 하였다. 화장품 브랜드 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용기디자인의 중요성이 입증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브랜드 인지과정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에서 출시되고 있는 제품의 용기디자인 사례를 조사,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이 화장품 용기에 대해 가지고 있는 견해를 알고자 하였다. 제 1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 2장에서는 화장품 용기디자인과 브랜드 인지에 관한 고찰을 화장품의 일반적 개념, 화장품 용기디자인의 이해, 브랜드 인지와 스키마의 상관관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제 3장에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인 정의와 구성요소,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과 용기디자인의 연관성을 역할과 감각요소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 총 16개를 선정하고 제품을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장품 용기의 형태는 국내 설화수, 이니스프리, 후, 숨37도가 자사만의 독특한 디자인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고 해외에서는 오리진스 만이 보유하였다. 레이아웃은 국내 더페이스샵, 필로소피를 제외한 모든 브랜드의 로고가 맨 상단에 위치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제품명, 상세표기 순으로 구성되었다. 용기 재질은 PET, LDPE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용기의 컬러와 재질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연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장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용기디자인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국내 설화수, 라네즈, 이니스프리, 후, 숨37도가 브랜드 컨셉과 연관된 디자인적 요소를 가졌으며 해외에서는 랑콤, 키엘, 비오템, 아베다, 오리진스가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 5장에서는 앞서 진행했던 용기디자인의 속성과 현황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화장품을 직접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20대, 30대 남녀 11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화장품에서 포장 용기의 상품 경쟁력과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와 독자적인 용기디자인이 브랜드 각인에 효과적인가에 대하여 ‘매우 크다’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화장품 브랜드 내에서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에는 다양한 마케팅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화장품 구매 소비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매체는 화장품 용기디자인이다. 화장품 용기는 제품의 내용물이 소진될 때까지 사용자의 화장대나 핸드백 속에서 지속적인 접촉과 인지를 야기한다. 이는 브랜드에 대한 강력한 인지작용을 유발하여 소비자에 의한 브랜드 충성도 형성에 매우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이 화장품 용기디자인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PB - 한양대학교 TI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서 화장품 용기디자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TT - A Study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smetics Container Design for Brand Communication TA - Lee, Ju Hyun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