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U - 류웅재 DA - 2015/07 PY - 2015 UR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397144?TotalCount=1&Seq=1&q=((%5B%EB%AC%BC%EC%A7%88%EB%AC%B8%ED%99%94%EB%A1%9C%EC%84%9C%20%EC%95%84%EC%9B%83%EB%8F%84%EC%96%B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3A%20%EC%95%84%EB%82%A0%EB%A1%9C%EA%B7%B8%EC%A0%81%20%EB%AC%BC%EC%A7%88%EB%AC%B8%ED%99%94%EC%97%90%20%EA%B4%80%ED%95%9C%20%EC%86%8C%EA%B3%A0%C2%A7coldb%C2%A72%C2%A751%C2%A73%5D))&searchWord=%EC%A0%84%EC%B2%B4%3D%5E%24%EB%AC%BC%EC%A7%88%EB%AC%B8%ED%99%94%EB%A1%9C%EC%84%9C%20%EC%95%84%EC%9B%83%EB%8F%84%EC%96%B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3A%20%EC%95%84%EB%82%A0%EB%A1%9C%EA%B7%B8%EC%A0%81%20%EB%AC%BC%EC%A7%88%EB%AC%B8%ED%99%94%EC%97%90%20%EA%B4%80%ED%95%9C%20%EC%86%8C%EA%B3%A0%5E*&searchWordCondition=%EC%9E%90%EB%A3%8C%EC%9C%A0%ED%98%95%3D%5E%24%EC%A0%84%EC%B2%B4%5E*&Multimedia=0&isIdentifyAuthor=0&Collection=0&isFullText=0&specificParam=0&SearchMethod=0&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50 UR - http://hdl.handle.net/20.500.11754/26010 AB - 최근 빠르게 부상하는 여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등산과 캠핑, 자전거와 피트니스, 해외여행과 명품 소비 등을 둘러싼 한국 사회의 일상의 문화정경을 바꾸어 놓았다. 이는 가깝게는 주 5일제 근무의 정착과 더불어 한국 사회에 불기 시작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기인하며, 최근 창조경제를 중심으로 문화산업과 관광을 둘러싼 정부의 정책담론 또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다. 특히 한국 사회의 아웃도어 열풍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고, 이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소비문화란 맥락에서 설명될 수도 있는 현상이다. 이 글은 단순한 유행이나 패션의 트렌드를 넘어 최근 한국 사회에서 흥미로운 사회 문화이자 일종의 미디어 현상으로 자리 잡은 아웃도어를 중심으로, 오늘날 여가나 취향과 관련된 물질문화를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있다. 특히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작업을 토대로 경험적, 삽화적 접근을 가미해 아웃도어의 미디어적 속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그리고 한국사회를 두텁게 읽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discuss the recent change in everyday life and sociocultural scene in the Korean society due to growing interest in leisur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iking and camping, bike riding and fitness, overseas tourism and luxury goods consumption. Together with the onset of the five-day workweek system, this craze signals a major shift in lifestyle. The government’s policy discussion about the cultural industry and tourism reflects the spreading sentiment. At the heart of this transition is the outdoor craze. Furthermore, this trend can be explained as a consumption culture in the era of neo-liberalism. This essay critically examines the material culture in Korea related to leisure or cultural politics of taste focusing on the outdoor craze as a unique sociocultural and media phenomenon. In doing so, a series of pertinent theoretical works, empirical and episodic approach were utilized to decode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PB - 한국방송학회 KW - 아웃도어 KW - 미디어 KW - 물질문화 KW - 소비 KW - 문화정치 KW - outdoor KW - media KW - material culture KW - consumption KW - cultural politics TI - 물질문화로서 아웃도어에 관한 연구: 아날로그적 물질문화에 관한 소고 TT - A Study on the Outdoor Craze as Material Culture : An Essay on the Analog Material Culture IS - 4 VL - 29 T2 - 한국방송학보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