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주항 DA - 2022. 8 PY - 2022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054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525 AB - 한국 사회는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한국의 고령자 인구는 2025년 20.3%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과거의 고령자들에 비해 이제는 단순히 고령자들에게 복지와 요양시설을 제공하기 보다는 의식을 바꾸고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서민들과 계속 함께 살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사회는 고령화 사회의 해법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스마트 홈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해 왔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스마트 홈에 대한 연구는 고소득층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 지향적이다. 특히 스마트 홈은 거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측면뿐만 아니라 생활패턴, 가치관, 태도 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고령자를 고려한 스마트 홈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비스 모델개발을 목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도를 도출하고, 이론적 검토와 조사를 바탕으로 다른 고령자에게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홈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공통된 삶과 관련된 주변 환경을 기반으로 시나리오 검증에 중점을 두고 스마트 홈 서비스 모델개발을 고려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50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고령자의 특성, 고령자들이 스마트 홈에 대한 인식과 스마트 홈 서비스 필요도 조사에 따라 50~65세 예비 고령자층과 65세 이상 고령자층으로 구분됐다. 결과에 따라 시나리오 분석에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의 디자인 모델을 개발한다. 고령자를 위해 설계된 스마트 홈에 필요한 서비스는 부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 모델이 공식화되고 제안되며 다음과 같은 예상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 유형은 안전 서비스, 실내환경관리 서비스, 건강 서비스와 문화 및 생활편의 서비스로 분류하여 고령자 주택 서비스 내용과 스마트 홈 서비스 내용 사례로 결합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설문조사 내용을 도출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 모델을 도출하여 도출한 내용은 시나리오 검증을 통해 모델중의 세부 항목을 제시했다. 안전 서비스는 사람 인식 시스템, 외출 안전 시스템, 가스 감지 및 자동 단기 시스템, 연기 감지 및 경보 시스템, CCTV 모니터링 시스템, 긴급시 비상 호출 시스템의 6개 항목으로 구분된다. 실내환경관리 서비스는 자동 센서 조명, 청소지원 로봇, 자동환기 시스템, 온, 습도 조절 시스템의, 4개 항목으로 구분된다. 건강 서비스는 건강상태 체크하고 의료 시설의 연결,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스마트 욕조 시스템, 고령자 압력 센서 등 4개 항목으로 나눈다. 또한. 문화 및 생활편의 서비스는 가족, 친구와의 영상통화, 디지털TV, 스마트 미러, 전기를 한번에 차단, 인터넷 택배 관리를 5가지로 구분된다. 설문조사를 통해 대부분 조사대상은 미래의 이사 계획에서 현재 거주하는 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존 주택을 개조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서비스 항목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에 더욱 주목한다. 스마트 홈 서비스 유형에 따라 도출된 기기 설비를 보면 현재 네 가지 서비스 유형에 필요한 지원 기기은 홈 서버와 스마트 폰 app 공통점이 있는데 이것은 현재 스마트 홈 서비스의 기초이다. 안전 서비스에 대해 보통 홈 서버, 스마트 폰 app, 카메라, DVR, 출입 센서, 스마트 도어록 개폐감지기, 개폐감지기, 동작감지센서, 출동 경비 시스템, 패널/경광등, 연기 감지기, 통풍기, 소화기, 가스 안전기, 마이크, 스피커, 비상호출기, 실시간 모니터, 외부 제어 PC가 필요하다. 실내환경관리 서비스에 대해 보통 홈 서버, 스마트 폰 app, 스마트 버튼, 이동 센서, 스마트전구, 온습도 센서, 온도 제어기, 가습기, 제습기, 공기질 센서, 공기 정화기, 월 패드, 청소 로봇, 음성제어기가 필요하다. 건강 서비스에 대해 스마트 욕조, 스마트 워치, 체성분/혈압/혈당 측정 센서, 카메라, 복약 알림기, IoT기반 복약 모니터링 디바이스, 스비커, 마이크, 호출기, 압력 센서가 필요하다. 문화 및 생활편의 서비스에 대해 홈 서버, 스마트 폰 app, 디지털 TV, 스마트 미러, 스마트플러그, 스마트버튼, 택배 관리함이 필요한 것이 제시된다. 각 기기 간의 서로 다른 조합은 고령자별의 다른 생활 수요에 대응과 만족할 수 있다. 안전, 실내환경관리, 건강, 문화생활 및 편의 서비스의 요소에 대한 기술 개발은 2000년대 초반에 시작되어 현재 많은 기술이 생활에 사용 및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기술은 여전히 ​​스마트 홈을 구축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특히 현재의 기술은 고령자를 위해 상용화 개발되었으며, 고령자층을 위한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와의 연계가 중요한다. 따라서 정보 네트워크 시대에는 스마트 홈 서비스 모델에 의한 서비스 차원에서 부족하거나 발전해야 할 홈 서비스 모델의 개발과 보완이 필요하며, 가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큰 노력과 연구가 필요해야 한다. PB - 한양대학교 TI - 고령자를 고려한 스마트 홈 서비스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TT - A Study on Smart Home Service Model Development Considering the Elderly TA - ZHOU HANG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