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성지빈 DA - 2022. 2 PY - 2022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5660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72 AB -  Many nations in the world have been declaring carbon neutralit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Major advanced countries started using hydrogen as an important eco-friendly energy resource and hydrogen is causing substantial changes in economy, society, and life, so that they have actively promoted energy paradigm shift toward a hydrogen economy which is the resource of economic growth and eco-friendly energy. For this reason, advanced countries are preparing major supporting policies and planning to encourage large-scale and long-term investment. In Korea, the governments also enacted the ‘Act on Hydrogen Economy Promotion and Hydrogen Safety Manag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Hydrogen Act) first in the world to become a leading country in the hydrogen economy and implemented the Act from February 5 in 2021. Then, a hydrogen-specialized company confirmation system is implemented, a hydrogen sales price reporting system for charging stations is introduced, an installation requesting system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and fuel cells is established, and a hydrogen-specialized complex designation and a pilot project are implemented.   The hydrogen economy consists of five value chains, including production, storage, transportation, charging, and utilization. Korea has a relatively good infrastructure of the hydrogen economy, and it actually has glob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in terms of domestic transformation, charging, and utiliz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production, Korea does not have natural gas resources and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Blue & Turquoise hydrogen, and it is inevitable to import hydrogen directly before production of Green hydrogen, which could make carbon emission Net Zero by securing large-scale renewable energy resources, satisfies domestic demand. In addition, within current technology conditions, production cost of Green hydrogen is still two or three times higher than it of Blue & Turquoise hydrogen generally, so that it has disadvantage in terms of economics. Considering this condition, Korea has to import Blue & Turquoise hydrogen, Green hydrogen, and ammonia from overseas at the latest in 2030. In 2040, it is predicted that about 50% to 70% of domestic demand for hydrogen will have to depend on overseas imports.   In order to introduce foreign-produced hydrogen, it is needed to invest largely foreign natural gas fields, hydrogen production facilities, export terminals and introduction terminals, storage facilities, and CCS. As the Roh Moo-hyun and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carried out active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ttract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ment in the hydrogen economy, to relieve financial burden of the governments and to build a hydrogen economy quickly. For example, in November 2021, China signed a LNG sales contract that it includes a long-term contract for 20 years and  it reaches a total amount of 4 million tons per year with the Venture Global Corporation, which is an American LNG exporter, in order to resolve power shortage issue in China even amid the fierce trade dispute between US and China. This event shows the harsh international reality in which countries have no choice but to approach hostile competing countries to secure stable, safe, low-cost, and eco-friendly energy, and it proves that it is needed to take more efforts to reserve resources in the hydrogen economy.  Therefore, by analyzing supporting policies of the past governments on the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finance and by researching current status, cases, and problems of the resource development finance, this study is to suggest a Korean hydrogen development finance system that it is suitable for the realities of domestic compan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and it enables actual investment, and it is able to raise necessary fund for the hydrogen economy.  |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은 친환경에너지인 수소를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 수소가 국가의 경제·사회·생활 등에 근본적 변화를 초래하여 경제성장과 친환경 에너지의 원천이 되는 수소경제로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선진국들은 주요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막대한 규모의 장기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대한민국 또한 수소경제 선도국가가 되기 위하여 세계 최초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수소법”)을 제정, 2021년 2월 5일부터 시행하여 수소전문기업 확인제도 실시, 수소충전소의 수소 판매가격 보고제도 도입, 수소충전소 및 연료전지 설치요청 제도 신설, 수소특화단지 지정 및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수소경제는 밸류체인이 생산-저장-운송-충전-활용 5가지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는 수소경제의 물적 기반을 상대적으로 잘 갖추어 있고 특히 내국 운송-충전-활용 분야에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생산에 있어서는 천연가스 자원이 없어 청록수소 생산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신재생에너지원이 대규모로 확보되어 탄소발생량이 Net Zero가 되는 녹색수소 생산이 국내 수요를 충족하기 전에는 해외를 통한 수소 수입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이다. 또한 녹색수소는 아직까지 현재의 기술로는 생산비용이 청록수소 생산비용 대비 평균적으로 2~3배 높은 실정으로 경제성에서도 불리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 시 해외로부터 청록수소 및 녹색수소, 암모니아 등의 직도입이 필요한 시점이 늦어도 2030년부터 필요한 상황이며, 2040년에는 약 50~70%의 국내 수소 수요를 해외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해외에서 생산된 수소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해외 천연가스전, 수소 생산시설, 수출 터미널 및 도입터미널, 저장시설, CCS 등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과거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시절 적극적인 해외자원개발정책을 펼친 것과 같이 수소경제에 있어서도 수소 확보에 필요한 민간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국가의 재정 부담을 완화하고 빠른 수소경제 구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최근 2021년 11월 치열한 미중 무역 분쟁 중에서도 중국이 자국의 전력 부족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LNG 수출회사인 벤처글로벌社로부터 연간 총 400만톤, 20년 장기 LNG 매매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는 자국의 안정적·안전한 저비용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 받기 위해 적대적 경쟁 국가에게도 손을 내밀 수밖에 없는 냉혹한 국제 현실을 보여주고 수소경제에 있어서도 자원 확보의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반증의 사례로 들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자원개발 금융 분야의 과거 정부의 정책 지원 및 자원개발금융 현황 및 사례와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국내 기업 및 금융기관 수준의 현실에 적합하고 실제 투자 집행이 가능하며, 수소경제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한국 수소개발금융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PB - 한양대학교 TI - 한국형 수소개발금융 체계에 관한 연구 TT - The Study of Korean Hydrogen Development Financing System TA - Sung, Jeebeen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