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강신우 DA - 2011/08 PY - 2011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8531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7768 AB - 오늘날 세계는 기후협약에 의해 탄소배출량을 규제하는 환경정책을 기조로 전 세계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채택된 기후변화협약과 2005년 2월 16일에 발효된 교토의정서는 38개국에 대해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 기간(2008∼2012년)동안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평균 5.2% 감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온실가스 총 배출량 10위로서 온실가스 상위 배출국가중에서도 온실가스 증가율이 1위 국가로서 2013년 제2차 공약기간에는 온실가스 의무 감축국으로 지정 예정에 있다. 지난 수 십 년간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한 전기/가스/수도/석탄/석유 등은 지구온난화와 같은 심각한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어 최근 세계는 경제와 사회 환경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녹색성장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공공건축물은 공공의 이익과 가치 향상을 목적으로 시민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도시의 랜드 마크로서 이미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영국, 핀란드를 비롯한 해외에서도 도시 경쟁력 향상을 위해 공공 건축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책을 시행중에 있다. 건축물은 세계가 소비하는 원재료의 40%를 소비하고 있고, CO2의 배출의 절반 가량이 건축물에 의한 것이며, 건축폐기물은 국가에 따라 전체폐기물의 20∼5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건축물의 건설·운영·폐기단계까지의 환경부하는 매우 크게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업무시설 가이드라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분석하고 지금까지 안산시 공공시설물에 대하여 적용한 친환경인증 사례와 국내․ 외 친환경건축를 조사하여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 파악하여 공공시설의 친환경건축 구현을 위한 기초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과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해 지금까지 공공건축물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분석·조사하고, 최근 안산시에 신축된 공공청사에 대한 친환경 건축기법을 분석·평가 후 친환경 가이드라인을 도출함으로써 친환경공공건축물 보급 확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제5장에서는 친환경건축 기술의 적용방안을 페시브 디자인(Passive Design)과 액티브 디자인(Active Design) 요소로 분류 하였으며 친환경건축 가이드라인에 필요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신재생에너지 기준을 강화하여 소규모 건축물인 노인정, 경로당, 주민센터 등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체에너지 사용을 적극 유도하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규모 공공시설 수자원 절약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수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여, 강우시 우수 유출을 억제하고 이를 수자원으로 전환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상수 소비 절감 및 우수 억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친환경건축을 위한 민간 및 공공건축물에 대하여 보조금 지원, 지방세 감면기준안을 신설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환경보존을 위한 건축기법개발 및 시공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환경보존과 개발사업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주민들에게 현대화 된 도시와 자연의 조화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업무시설 친환경 가이드라인과 건축기법에 대한 국내․ 외 사례와 친환경인증 기준을 분석하여 친환경 건축기법의 적정성을 알아 보았으며 안산시 친환경건축 가이드라인에 필요한 요소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공공업무시설에 대한 친환경 건축물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친환경 정책개발도 중요하겠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친환경건축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최적의 가이드라인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B - 한양대학교 TI - 안산시 공공건축물의 친환경 건축기법 적용사례 TT -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Sustainable Building Technologies to Public Buildings in Ansan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