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홍수진 DA - 2016/02 PY - 2016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867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963 AB - 본 연구에서는 폐 선암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이하 EGFR) 돌연변이에 따른 영상의학적 특징과 수술로 제거된 조직에서 확인된 IASLC/ATS/ERS 분류에 따른 조직학적 아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0년 10월에서 2012년 5월까지 폐 선암을 수술로 제거한 250명의 환자 (남자 118명, 여자 132명, 평균 나이 60세)를 대상으로 폴리메라아제 연쇄 반응과 직접 시퀀싱 방법으로 EGFR 돌연변이 (엑손 18-21)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징, 젖빛유리음영 (ground-glass opacity; 이하 GGO) 비율을 포함한 영상의학적 특징, IASLC/ATS/ERS 분류에 따른 조직학적 아형과 EGFR 돌연변이 유무 혹은 아형과의 상관관계를 짝이 없는 티검정, 피셔의 정확검정,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폐 선암의 EGFR 돌연변이는 남자 (38.1%)보다 여자 (54.5%)에서, 흡연자 (35.3%)보다 비흡연자 (54.7%)에서 유의하게 자주 발견되었다 (p = 0.011, 0.003). GGO의 비율은 EGFR 돌연변이를 가진 폐 선암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p = 0.005), GGO가 50% 이상인 선암에서 GGO가 50% 미만인 선암보다, GGO가 있는 선암에서 GGO가 없는 선암보다 EGFR 돌연변이가 자주 발견되었다 (p =0.026, 0.008). EGFR 돌연변이는 대부분 엑손 19 또는 21에 생겼으며 (94.9%), 이들을 가진 폐 선암은 EGFR 돌연변이가 없는 선암보다 GGO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9, 0.029).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GGO의 존재는 EGFR 돌연변이의 독립적인 예측변수였다 (OR = 1.79, 95% CI = 1.07-3.02, p = 0.027). 결론적으로 GGO 의 비율은 EGFR 돌연변이가 없는 폐 선암보다 EGFR 돌연변이를 가진 선암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GGO의 존재는 EGFR 돌연변이의 독립적인 예측변수였다. 엑손 19 또는 21에 EGFR 돌연변이를 가진 폐 선암은 EGFR 돌연변이가 없는 선암보다 GGO 의 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B - 한양대학교 TI -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돌연변이를 가진 폐 선암에서의 영상유전체적 상관관계: 영상의학적 특징과 조직학적 아형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