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THES AU - 장원석 DA - 2017/02 PY - 2017 UR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133 UR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9449 AB -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에 대한 예방 및 개선을 위해서는 근저항 운동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지만 근저항성 운동에 대한 접근성이 취약한 중년여성들은 근력운동 수행비중이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수행하기 쉽고 중년여성들에게 적합한 근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Battle rope운동은 다양한 중량으로 운동수행이 가능하며 운동수행으로 인한 부상의 우려가 낮고 운동방법 또한 간단하여, 근저항성 운동에 익숙하지 않은 중년여성의 근력강화에 흥미롭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으로서, battle rope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중년여성들에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운동강도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강도별 battle rope 인터벌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기초체력 향상에 효율적인 운동강도를 제시하고 battle rope 운동으로 통해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근감소증 예방과 개선에 효과적인 근저항성 트레이닝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battle rope의 크기는 지름 30mm, 길이 15m, 무게 6.5kg의 나일론 밧줄을 사용하였으며, 운동과 휴식비율은 ACSM에서 권장한 battle rope 초보자 가이드를 참고하여 운동 30초 휴식 90초의 1:3 비율을 적용하였다. 12주간 주 3회 10Set를 실시하였으며 강도별 그룹은 저강도(LIIT: Low Intensity Interval Training), 중강도(MIIT: Middle Intensity Interval Training), 고강도(HIIT: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세 그룹으로 각 그룹별 운동강도는 저강도 THR 60%~70%, 중강도 THR 70%~80%, 고강도 THR 80%~90%의 강도로 설정하였고 각 운동 강도에 따라 신체조성, 혈중지질, 기초체력에 어떠한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그룹(LIIT, MIIT, HIIT)과 운동 기간(pre, post)에 따른 체성분의 변화 중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은 운동처치 전과 후의 기간, 그룹, 상호작용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제지방률은 운동처치 전과 후의 기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간(p<.01)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골격근은 운동처치 전과 후의 기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간(p<.05) 차이를 나타냈다. 기초대사량은 운동처치 전과 후의 기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간(p<.05)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그룹(LIIT, MIIT, HIIT)과 운동 기간(pre, post)에 따른 혈중 지질의 변화 중 TC는 운동처치 전보다 처치 후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1), 그룹 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G는 운동처치 전과 후의 기간, 그룹 간, 상호작용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LDL-C는 운동처지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p<.01), 그룹,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C은 운동처지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p<.05), 그룹,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그룹(LIIT, MIIT, HIIT)과 운동 기간(pre, post)에 따른 근력의 변화 중 왼손 악력(Left Grip Strength)은 운동 처치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5), 그룹 간에서도 유의한 나타났으나(p<.05),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른손 악력(Right Grip Strength)은 운동 처치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1), 그룹 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배근력(Back strength)은 운동 처치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1), 그룹 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그룹(LIIT, MIIT, HIIT)과 운동 기간(pre, post)에 따른 근지구력의 변화 중 Push-up은 운동 처치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1), 그룹 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Sip-up은 운동 처치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1), 그룹 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Battle rope 30 second wave exercise는 운동 처치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1), 그룹 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그룹(LIIT, MIIT, HIIT)과 운동 기간(pre, post)에 따른 심폐지구력의 변화 중 셔틀 런(Shuttle run)은 운동 처치 전보다 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1), 그룹 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최대심박수(HRmax; Maximal Heart Rate)는 운동처지 전과 후 기간, 그룹, 상호작용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심박수(AHR; Average Heart Rate)는 운동처지 전과 후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 결론을 바탕으로 중년여성들에게 실시한 battle rope 인터벌 트레이닝의 결과로 저, 중, 고강도 모든 그룹의 운동 전 후의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의 능력이 향상되었고 혈중지질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어, 기초체력향상과 더불어 근감소증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복합운동이라고 사료되며, 각 그룹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중강도 그룹에서 근력과 근지구력 향상도면에서 고강도 그룹과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심폐지구력 측면에서는 고강도 그룹과 비슷한 효과성을 보여 중년여성의 낮은 체력수준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보다 THR 70~80%의 중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이 중년여성의 근감소증에 대한 근육의 질적 향상과 혈중지질 개선을 기대하기에 적합한 운동강도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중년여성들의 신체조성을 변화시키기에는 12주간 주 3회의 운동의 기간은 다소 부족했던 것으로 사료되며, 피험자들의 식이조절 또한 중요 요인으로 신체조성 변화에 식단조절 동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운동수행 기간의 증가와 식단조절을 병행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다방면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B - 한양대학교 TI - 12주간 강도별 Battle rope 인터벌 트레이닝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기초체력 및 근감소증에 미치는 영향 TT - Effect of Battle rope Interval Training by Intensity for 12 weeks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Basal physical fitness and Sarcopenia in Middle aged women TA - Jang, Won Seok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