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 | 1990년대 민족문학론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 이재복 |
2005-06 | 90년대 민족문학론과 신세대문학론 | 이재복 |
2006-12 | 90년대 이후 나타난 한국문학 담론의 변화와 그 전개 양상에 대한 일고찰 - 문학 위기론과 그 대안을 중심으로 | 이재복 |
2022-02 | ‘흰 그늘’의 미학과 한국시의 향방(向方) - 김지하의 시와 미학사상을 중심으로 | 이재복 |
2015-12 | 공중인 시의 낭만성 연구 | 이재복 |
2022 | 공칠정(公七情) 담론의 형성과 도덕 감정론 | 이재복 |
2019-12 | 김지하 생명사상의 외연과 내포, 그 세계사상사적 위상과 의미 | 이재복 |
2018-12 | 단장시조 혹은 홑시조의 형식 실험과 시적 전망 | 이재복 |
2015-08 | 박목월 문학의 재인식과 현재성 : 적막한 감각과 내적 평정으로서의 글쓰기-박목월의 산문 세계- | 이재복 |
2016-12 | 비페이위의 『마사지사』에 나타난 몸의 감각과 욕망 | 이재복 |
2015-08 | 사르트르의 '전반성적 의식'에 대한 연구 | 이재복 |
2016-12 | 소설 사회학과 생명의 정치학 - 박민규의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중심으로 - | 이재복 |
2018-12 | 시와 정체공능(整體功能)의 미학- 박목월의 「나그네」와 「윤사월」을 중심으로 | 이재복 |
2006-04 | 신춘문예의 문학제도사적 연구 - 근대적인 제도로서의 발생과정과 그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 이재복 |
2005-03 | 유(有)에서 무(無)로 무(無)에서 무(無)로 - 이승훈의 비누를 중심으로 | 이재복 |
2020-09 | 이동주 시의 전통 미학 - 한(恨), 신명(神明), 그늘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재복 |
2017-12 | 이문열의 작가 의식과 세계 인식 태도 - 중심, 변경, 초월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재복 |
2020-12 | 전통의 발견과 국학의 탄생 - 조지훈 학문 세계의 해석 원리와 지적 형상을 중심으로 | 이재복 |
2005-08 | 전환기로서의 90년대와 새로운 비평가치의 모색 - 탈근대주의 비평 담론을 중심으로 - | 이재복 |
2017-12 | 티에닝의 『목욕하는 여인들』에 나타난 여성상 | 이재복 |
2007-12 | 한국 현대시와 그로테스크 | 이재복 |
2008-12 | 한국 현대시와 데카당스 | 이재복 |
2007-12 | 한국 현대시와 숭고 - 이육사와 윤동주를 중심으로 | 이재복 |
2008-08 | 한국 현대시와 키치 | 이재복 |
2007-08 | 한국 현대시와 패러디 | 이재복 |
2006-12 | 한국 현대시의 가족로망스 연구 | 이재복 |
2015-12 | 한일 단형(短形) 시가의 비교 연구 - ‘극(極)서정시’와 ‘하이쿠(俳句)’를 중심으로 | 이재복 |
2021-12 | 흰 그늘의 미학과 한국시의 향방 | 이재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