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논리 | 류수열 |
2016-06 | ABCD 기반 융복합교사교육 모형 개발 연구: 창의·인성교육 전문성을 중심으로 | 류수열 |
2019-12 | ‘수필’ 개념을 둘러싼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긴장 | 류수열 |
2011-12 | <우리들전>에 나타난 <춘향전> 독자의 반응 양상 연구 | 류수열 |
2018-12 | 거짓말 서사로서의 ˂토끼전˃에 대한 문학교육적 담론의 특성 연구 | 류수열 |
2012-08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정서 이해 학습활동 연구-고려속요를 중심으로- | 류수열 |
2018-12 | 고등학교 문학 영역의 전통과 특질 관련 성취기준의 교재화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류수열 |
2012-08 | 고령 사회 친화적 문화 환경 조성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노인의 형상을 중심으로 - | 류수열 |
2017-10 | 고전문학 향유 리터러시의 위계화 시론-˂토끼전˃을 중심으로- | 류수열 |
2013-08 | 고전시가 독서의 재미 요소 탐구 | 류수열 |
2020-03 |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에 대한 문학교육론적 회의 | 류수열 |
2014-11 | 근대적 시간관을 통해 본 ˂조선어독본˃의 교재사적 위상 | 류수열 |
2013-12 | 매체 환경의 변화와 독서, 그리고 독서 교육 | 류수열 |
2018-11 | 문학교육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호명하는 방식에 대하여 | 류수열 |
2018-03 | 비극성의 관점에서 본 고전소설 결말구조 연구 -˂이생규장전˃, ˂운영전˃을 중심으로- | 류수열 |
2019-12 |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발전적 방향 모색-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 | 류수열 |
2018-01 | 시조의 율격에 대한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거리-시조는 음보율로 설명될 수 있는가- | 류수열 |
2015-04 | 은유 개념의 허상과 실상 | 류수열 |
2017-12 | 전생애적 문식성으로서의 논술 개념의 확장 -역량 평가 및 학습 도구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 류수열 |
2018-02 | 중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인성 관련 요소 분석과 시사점 | 류수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