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동운-
dc.contributor.author김진숙-
dc.date.accessioned2019-02-28T03:23:30Z-
dc.date.available2019-02-28T03:23:30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96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330en_US
dc.description.abstract배경 및 목적: 보완대체의료(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이용이 만성질환자들, 특히 골관절염환자들에게 매우 흔하다. 이들의 CAM 이용에 대한 연구는 주로 병원이용 환자들에 대해 수행되었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사회 정형외과 외래진료실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이용과 연관된 요인을 결정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서울시 강동구와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1차 의료기관인 정형외과 의원 및 소규모 병원, 총 6곳에서 정형외과 전문의로부터 골관절염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인 환자 3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12일~ 7월12일까지 4개월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한양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승인번호 HYI-17-246-1)의 승인을 받은 후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골관절염 환자들의 CAM 이용률은 83.1%였으며, 가장 흔히 이용하는 CAM의 종류는 잡곡밥, 칼슘, 오메가 3, 비타민·건강보조식품 같은 식이·약물요법이며, 다음으로 마사지, 온천/목욕, 침술 순이었다. 이 중 가장 효과 있다고 인식하는 것은 ‘침술’ 이었으며 CAM 이용자의 주 정보원은 이웃, 친구, 가족·친척 이었고, CAM에 대한 의사와의 상담률은 50%미만이었다. CAM 이용 결정요인으로는 여성, 평소 건강관리여부, 관절의 중증 강직(뻣뻣함) 경험이었다. 결론 및 제언: 지역사회 클리닉에서 골관절염을 관리하는 환자들의 CAM 이용은 흔하였다. 지역사회 중심의 질병관리에 있어서도 약물을 장기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때 CAM의 동시 이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지역사회의 의료기관의 의료인들은 이들의 CAM 이용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의사-환자간의 충분한 의사소통 후 적절히 이용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핵심단어 : 보완대체의료, 골관절염, 지역사회 클리닉 ※Key word : Osteoarthriti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ommunity clinic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지역사회 클리닉 골관절염 환자들의 보완대체의료 이용 연관 요인-
dc.title.alternativeFactors associated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osteoarthritis patients attending community clinic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진숙-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n Soo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공정책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료행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행정-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HEALTHCARE ADMINISTRATION(의료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