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8 0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Nurses' Self-Leadership on Job Involvement
Author
남서윤
Alternative Author(s)
Nam, Seo Yun
Advisor(s)
한상우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몰입의 관련요인으로서 셀프리더십의 정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횡단적·탐색적 조사연구로서, 2018년 11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서울 소재 H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Manz(1983)가 개발한 셀프리더십 도구를 김한성(2002)이 수정·보완하고, 조경희(2003)가 내용 타당도를 검정한 도구를, Kanungo(1982)가 개발한 직무몰입 도구를 김정아(1997)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² 교차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 연령 32.1세로 20∼29세 이하가 65명(51.6%)으로 가장 많았고, 최종 학력은 대학교 졸이 74명(58.7%)으로 가장 많았다. 총 근무경력은 평균 9.0년으로 5년 미만이 54명(42.9%), 현 부서경력은 평균 5.3년으로 5년 미만이 71명(56.3%)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상자의 셀프리더십은 평균 3.55±0.39점, 직무몰입은 평균 3.02±0.60점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자기보상이 평균 3.81±0.58점으로 가장 높게, 건설적 사고가 평균 3.36±0.6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의 교차분석 결과 자기기대, 리허설, 목표설정, 건설적 사고는 대상자의 연령, 최종 학력, 총 근무경력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40세 이상, 대학원 이상, 총 근무경력 15년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직무몰입의 교차분석 결과 사직에 대한 고려는 39세 이하, 대학교 졸, 총 근무경력 10년 이하에서 높게 나타났다. 만족의 원천을 일로 여기고 일에 애착을 가지며 자발적인 시간 외 근무를 하는 특성은 40세 이상, 대학원 이상, 총 근무경력 15년 이상, 현 부서경력 10∼15년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Fourth,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3.917, p=.022), total service year(F=4.427, p=.005); job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12.832, p=.000), highest level of education(F=4.963, p=.008), total service year(F=11.914, p=.000), and career in the current department(F=3.534, p=.017).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involvement(r=.422, p=.000), reflecting higher self-leadership leading to a higher job involvement.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order of rehearsal(r=.478, p=.000) and goal setting (r=.367, p=.000). Sixth,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subjects’ job involvement which are age(β=.776, p=.000), self-leadership(β=.301, p=.000) and total service year(β=-.423, p=.022) showed 34.6% explanation power. The study results mentioned above verified that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involvement as self-leadership, age, and the total service year of nurses was affecting factors of their job involvem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a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by age and service year be made to provide an autonomous education opportunity and have the program be structurally tested of their effectiveness.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effectiveness of duty performance be improved through challenging goal setting and rehearsal for the goal achievement, as well as a flexible working environment for the nurses to think positively and constructively. And it is considered that learning opportunity should be expanded so that they may make personal and potential ability development, and lastly that organizational support is needed so that they may be compensated for their performance properly.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anticipated to affec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crease of nur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the hospital and nurse organization in the long ru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96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8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HEALTHCARE ADMINISTRATION(의료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