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0 0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침투적 반추 및 의도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 :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Title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침투적 반추 및 의도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 :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Breakups: The Mediating Effects Of Decentering
Author
차경환
Alternative Author(s)
CHA KYUNG HWAN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침투적 반추, 의도적 반추, 탈중심화,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침투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탈중심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있는 대학생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16부를 제외한 총 3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사건관련 반추 척도(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ERRI), 외상 후 성장 척도(Post Traumtic Growth Inventory: PTGI), 탈중심화 척도(Experiences Questionnaire: EQ)이다.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2과 AMOS 2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침투적 반추, 의도적 반추, 탈중심화와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침투적 반추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의도적 반추와 탈중심화는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침투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 간에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의도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탈중심화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침투적 반추가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탈중심화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대학교 상담센터에서는 주로 연인간의 이별이나 관계 파탄적인 부분들이 많이 다뤄짐에도 국내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는 대학 상담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주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이별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을 살펴보는 것은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 내담자들 위한 상담전략과 개입을 마련하는데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외적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나 소통도 중요한 변인이나 이별 후 성장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자신의 경험을 자발적으로 반추하고 거리를 두는 등의 개인의 인지적 변화가 필요함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이별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내적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대학생들의 이별 후 성장에 이르게 돕는 인지적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9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22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HUMANITIES & SOCIAL SCIENCE(인문사회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