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8 0

Clinicopathologic significance of SSBP2 expression in human malignancies

Title
Clinicopathologic significance of SSBP2 expression in human malignancies
Other Titles
인체 악성 종양에서 SSBP2 발현의 임상병리학적 의의
Author
김현성
Advisor(s)
장기석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SSBP2는 ssDNA-binding complex를 이루어 유전체 안정성(genome stability)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SSBP2는 정상세포 및 조직과 비교하여 악성 종양에서 프로모터 과메틸화(promoter hypermethylation)를 통해 발현이 감소되어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종양 억제자로서의 SSBP2 역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혈액암, 전립선암, 식도암, 난소암 등 에서 종양 억제의 역할이 보고되어 있는 반면, 교모세포종에서는 종양 유발자로서의 역할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아직 그 역할이 보고되지 않은 악성 종양에서 SSBP2 발현의 임상병리학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189 증례의 간세포암, 21 증례의 정상 간조직, 180 증례의 종양주변 정상 간조직, 173 증례의 투명세포 신세포암, 105 증례의 담낭 선암, 92 증례의 정상 담낭조직, 42 증례의 담낭상피내종양, 90 증례의 유두상 갑상선암, 75 증례의 위장관 기질종양의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조직으로부터 조직마이크로어레이(tissue microarray)를 제작하였고 SSBP2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SSBP2의 발현을 염색강도와 발현율을 고려하여 반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SSBP2의 발현은 통계분석을 위하여 음성/양성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여러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환자 예후와 비교분석 하였다. 정상 간세포 21개에서 SSBP2의 발현은 모두 음성, 180개의 종양 주변 정상 간조직 중 1(0.6%)개의 조직에서 양성인 반면 189개의 간세포암 중 16(8.5%)개의 조직에서 양성을 보여 암조직에서 SSBP2의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 0.001, chi-square for linear trend). SSBP2의 발현은 다발성 병변(p = 0.027, chi-square test), 높은 조직학적 등급(p = 0.003, chi-square test), 혈관침범(p = 0.001, chi-square test) 과 연관이 있었다. Kaplan-Meier 생존곡선에서는 무재발생존(recurrence-free survival)과 전체생존(overall survival) 모두에서 나쁜 예후를 보였다(p = 0.004 과 p = 0.026, log-rank test). 또한 SSBP2 양성일 경우 높은 Ki-67 증식지수(proliferation index)를 보였다(p < 0.001, t-test). 간세포암 세포주 Huh7에서 siRNA를 이용하여 SSBP2를 발현감쇄 시켰을 때, 세포 증식능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세포 이주능(cell migration)이 억제됨을 확인 하였고(p = 0.022, t-test), 상피간엽이행(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표지자 발현의 변화를 보였다. 투명세포 신세포암의 경우 173개의 투명세포 신세포암 조직 중 59 (34.1%)개의 조직에서 양성을 보였고 SSBP2발현 소실은 종양의 크기(p = 0.005, chi-square test), WHO/ISUP 조직학적 등급(p < 0.001, chi-square test), 괴사 소견(p = 0.008, chi-square test), 육종양 변화 (p = 0.021, chi-square test), 높은 pT 병기(p = 0.002, chi-square test)와 연관이 있었다. Kaplan-Meier 생존곡선에서는 무재발생존(recurrence-free survival)에서 나쁜 예후를 보였다(p = 0.041, log-rank test). 담낭의 경우 정상 담낭 조직 92개 모두에서 양성을 보였고, 42개의 담낭상피내종양 조직 중 3개(7.1%), 105개의 담낭 선암 조직 중 45개(42.9%)의 조직에서 음성을 보여, 암조직에서 SSBP2의 발현이 소실되는 경향을 보였다(p < 0.001, chi-square for linear trend). 그 외 다른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는 연관이 없었고 생존분석에서도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유두상 갑상선암에서는 90개의 암 조직 중 83개(92.2%)의 조직에서 양성을 보였고 SSBP2의 발현이 림프관침범의 경향성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066, chi-square test). 그 외 다른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는 연관이 없었고 생존분석에서도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위장관 기질종양의 경우 75개의 위장관 기질종양 조직 중 67개(89.3%)의 조직에서 양성을 보였다. 하지만 조직유형, 종양 크기 및 세포분열수를 포함한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 연관이 없었고 생존분석에서도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SSBP2의 발현은 종양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발현율을 보이며, 종양억제자 및 유발자의 역할을 달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간세포암에서는 SSBP2 양성인 경우 나쁜 예후를 보인 반면, 투명세포 신세포암의 경우는 SSBP2 발현 소실이 나쁜 예후인자로 작용하였다. 담낭의 경우에는 정상 및 상피내종양에 대비하여 악성 종양에서 SSBP2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성종양에서 SSBP2 유전자의 역할에 대한 추가적인 분자병리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5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4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