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3 0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이 지역아동센터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Title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이 지역아동센터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rt-Based Social Skills Training on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Local Child Community Centers
Author
이현정
Alternative Author(s)
Lee Hyun Jeong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 훈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1학년-3학년 아동의 사회성과 학교적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 훈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 훈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E구에 소재한 G지역아동센터와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하는 S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21명을 실험집단으로, 서울시 E구에 소재한 Y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12명을 비교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다양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대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 20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20주 동안 1주에 1회 90분 동안 진행하였다. 집단의 역동에 따라 라포 형성기(1-5회기), 사회기술 지도 및 연습기(6-15회기), 사회기술 활용 및 종결기(16-20회기)로 총 3단계로 나누었다. 이 연구에서 양적자료로써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속하는 아동 33명과 그 부모들 그리고 아동의 담당교사에게 사회기술평정척도(Social Skill Rating Scale)와 아동자가보고형 학교적응척도를 사전-사후에 검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이후, 연구 참여 아동의 사회성 및 학교적응 점수와 일상적 처치 집단 아동의 사회성과 학교적응점수를 사전-사후 비교하여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척도에 대한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한 공분산분석(ANCOVA)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연구에 참여한 모든 아동의 동질성 및 사회성과 학교적응능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의 점수변화와 평균 그리고 표준편차를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실시 후, 연구 참여자 아동들의 사회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과 일상적 처치 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통한 점수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교사용, 부모용 사회기술평정척도의 점수와 학교적응능력 점수 변화가 유의미함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아동 자가 보고형태의 사회기술평정척도에서도 매우 미세한 차이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래프 상으로는 향상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의 사회기술이 전체적으로 볼 때 유의미한 증진이 이루어졌음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둘째,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실험집단 아동들의 학교적응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교적응척도는 사전-사후에 모두 실시되었는데, 프로그램 실시 후 진행된 사후검사에서 학교적응 전체점수와 각 하위변인의 점수가 모두 향상되었으며, 일상적 처치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학교적응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1학년-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매체를 활용한 사회기술 훈련이 아동의 사회성과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기개념과 집단규칙, 또래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 그리고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집단에서의 수용을 경험하며, 개인의 사회성과 학교적응 뿐만 아니라 심리⦁정서적 부분과 같은 심층적인 요인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3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0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