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4 0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육성방법, Problem-Based Learning - 싱가포르대학과 한국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육성방법, Problem-Based Learning - 싱가포르대학과 한국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Problem-Based Learning for Enhancing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 Two Cases of Higher Education in Singapore and South Korea
Author
전상길
Keywords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문제해결능력; 고등교육; 4차 산업혁명; 비교연구; Problem-Based Learning; PBL; Problem Solving; Higher Education; Comparative Study
Issue Date
2018-12
Publisher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Citation
인적자원개발연구, v. 21, No. 4, Page. 299-325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새로운 비즈니스의 모델과 노동시장의 가변성을 불러오며, 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대학 교육에서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노력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중심학습법 (Problem-Based Learning, PBL)은 학습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 그리고 소통과 협업을 증진시켜주는 학습법으로, 근래에 들어 고등교육 부문으로의 적용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싱가포르 대학과 한국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중심학습법의 구체적인 사례를 비교 및 고찰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한 대학들의 노력을 조명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각 대학의 공식 문헌자료 및 기타 2차 자료, 그리고 학교 관계자들의 인터뷰 내용들을 간접적으로 활용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PBL 교수법의 목표는 양교가 동일하였으나, 이를 제외한 PBL의 도입배경, 수업의 운영형태, 학습자 평가방식 및 추진상의 어려움들은 모두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비교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문제중심학습법을 교육과정에 적용해보고자 하는 교육자 및 교육행정가들을 위한 시사점도 함께 도출하였다.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lls for a new paradigm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bringing new business models and labor market variability. In higher education, new efforts are being actively made to nurture talented people who can successfully adapt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a pedagogy that enhances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collab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ases of the implementation of PBL practices in Singaporean and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examine their efforts at leveraging PBL pedagogy to nurture their students. For this study, we used the official documents and secondary data of each institution, together with the interviews of the school official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goal of PBL pedagogy was the same for both institutions. However,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PBL, the way of conducting the class,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learner, and the difficulties for driving the PBL initiatives showed different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study, we also draw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who want to apply PBL pedagogy to their curriculum.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59607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8901
ISSN
1598-1835
DOI
10.24991/KJHRD.2018.12.21.4.29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E](경상대학)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