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9 0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 1980∼1987

Title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 1980∼1987
Other Titles
Filmming Abroad and Its Glocal Allegories, 1980∼1987
Author
정찬철
Keywords
80년대 한국영화; 생산의 공간; 해외 로케이션 영화; 글로컬 알레고리; 에로영화; 이국적 스펙터클; 미국이민; <상한갈대>; <깊고 푸른 밤>; <몽마르트 언덕의 상투>; <안녕 도오쿄>; the 1980s Korean Movies; the Space of Production; International Location Movies; Glocal Allegory; Erotic Films; Exotic Spectacle;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The Broken Reed>; <Deep Blue Night>; <A Top Knot on Montmartre>; <Farewell Tokyo>
Issue Date
2016-09
Publisher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Citation
통일인문학, v. 67, Page. 203-234
Abstract
본 연구는 1980~1987년 사이에 유행처럼 제작되었던 ‘해외 로케이션 영화’를 들여다본다. 이 시기 동안 제작된 해외 로케이션 영화 속의 이국적 도시공간은 이전과 달리 단지 배경으로만 존재하기보다는 직접적으로 로컬의 정체성, 역사적 그리고 정치적 서사와 결속되었다. 로컬의 서사는 이민자, 혼혈아의 자기 정체성과 같이 80년대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었던 역사적이고 정치적 양상을 지닌 공동체적 경험이었다. 특히 이민자의 서사를 다루었던 ˂상한 갈대˃(유현목, 1984)와 ˂깊고 푸른 밤˃(배창호, 1985)은 한국인 이민자의 민족적 그리고 인종적 정체성 혼돈의 기호와 징후 사이에서 한국과 미국의 식민지적 관계, 즉 지배와 피지배의 이분법적 관계를 드러내는 데만 머물지 않고,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과 길항하는 이민자 개인을 통해서 민족이라는 튼튼하고 균일한 질서에 균열을 일으킨다. 또한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는 외화쿼터획득을 목적으로 한 ‘졸속영화’의 제작과 에로영화로 물든 1980년대 한국영화 산업의 질적 부흥을 위한 영화적 ‘기획’이었다. 게다가 대부분 해외 로케이션 영화는 일반 영화의 3, 4배의 예산이 투자되었던 ‘대작’ 영화였다. 따라서 해외 로케이션 영화 속의 해외 도시공간은 무엇보다도 한국관객의 시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명승지와 화려한 풍경과 같은 이국적 볼거리이어야 했다. 제작사는 이국적 도시 이미지를 통해 졸속영화의 제작과 에로영화의 범람으로 인해 줄어든 영화관객을 되찾고 싶었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첫째,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에 등장하는 글로벌 도시공간은 제작사의 상업적 목적 속에서 전략적으로 선택된 공간이다. 둘째, 이 시기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벌 도시공간은 ‘글로컬 Glocal’ 공간이다. 왜냐하면 한국인 이민자의 자기 정체성과 떠나온 민족 사이의 갈등이 표출됨으로써, 글로벌 도시공간은 ‘글로컬’ 이라는 혼성적 공간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컬 도시공간은 민족 서사로 봉합되는 전체 서사 내부에서 균열적인 탈민족 서사로 재독(Re-reading)할 수 있는 지배적 기호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글로컬 알레고리가 된다. During the period from 1980 to 1987, Korean film industry was in crisis. The industry lost touch with the public as it made what the 5th Republic wanted movies that ideologically helped the regime’s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s to settle down its authority. For this aim, the Regime’s tool was its annual film rule that film production had to follow and reflected in order to get any ticket to import foreign movies by which they survived. In such political and cultural conditions, a strategy of filmming abroad emerged among leading film productions to meet the Regime’s film politcy and also their attempt to get back the lost public by making good films. It was successfully as it became a boom. What was interesting was that international location movies brought in a new space into Korean cinema, foreign urban spaces that related with the local, Korean’s collective memories such as the Korean War, immigration into America. What more interesting was that such local narratives in global urban spaces revealed that the Regime want to reshape such images of Koreans in global spaces into nationalist ones. This paper claims that international location moves of this period were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Regime’s political and cultural project to strengthen the Korean nationalism.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02731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612
ISSN
2288-9841
DOI
10.21185/jhu.2016.09.67.203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