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4 0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Title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Author
문희남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지각된 하부요로 증상과 질병관련 특성이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예측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전립선 비대증을 진단받은 남성들을 대상으로 본인이 지각하는 하부요로 증상과 질병관련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어느 정도 예측을 주는지 확인하여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해 고통 받는 대상자들에게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학적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자고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U시 소재 대학병원에서 비뇨기과 외래에 내원하는 45세 이상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단을 받은 자로,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응답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두 집단의 차이는 t-test, 세 집단의 차이는 ANOVA, 사후 검정은 Scheffe test,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예측요인은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평균 연령은 69.72세(표준편차 69.72±9.02)이며, 60-69세가 37.2%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학력은 초졸과 고졸이 27.4%, 종교는 없음이 36.3%, 직업은 기타(무직)가 49%, 지각된 경제상태는 중으로 답한 경우가 69.9%, 결혼상태는 기혼이 80.5%, 동거형태로는 부부가 함께 사는 비율이 6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건강관련, 질병관련 특성에서 음주는 비음주의 경우가 54.9%, 커피는 1-2회/일이 43.4%, 운동여부는 안함이 39.8%, 성관계 없음이 50.4%, 수면시간은 7시간이하/일이 54.9%, 전립선 비대증 증상은 중증도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 중등증이 56명(49.5%), 최대 요속은 15ml/sec 미만이 64.6%, 요량의 평균값은 233.9± 137.6ml, 잔뇨량은 50ml미만이 63.7%, 전립선 크기는 25mg 이상이 77.0%, 전립선 특이항원은 4ng/dl 미만이 85.0%로 조사되었다. 3.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고령일수록 삶의 질이 낮았으며(F=6.179, p=.003), 대상자의 학력에 따라서는 무학, 초졸보다는 그 이상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5.150, p=.007). 4. 대상자의 커피섭취유무, 성관계 유무, 수면시간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은 하부요로증상(r=-.72,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최대요속과 요량(r=.52, p<.001)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예측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시행 한 결과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로 하부요로증상(β=-.65, p<.000)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수면시간(β=.17, p<.008)으로 조사되었다(Adjusted R2=.57).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하부요로 증상과 수면시간으로 조사되었다.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하부요로 증상 관리를 위한 중재와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하부요로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전립선 비대증 남성의 자가관리 역량 향상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하겠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0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9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HEALTH NURSING(노인건강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