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세환-
dc.contributor.author이애란-
dc.date.accessioned2018-09-18T00:46:17Z-
dc.date.available2018-09-18T00:46:17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01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984en_US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들어 도시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 요구에 따라 생활권녹지 확충에 대한 민관협력의 녹화운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강한 공동체회복과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형 생활환경개선사업으로 확장되고 있다. 지역공동체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은 인적, 경제적 자본과 더불어 사업 성공에 중요한 축으로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배경은 참여형 사업에서 자발적이며 지속적인 커뮤니티 형성과 활성화 전략의 필요성 및 녹화운동의 생활환경개선에 대한 실증적인 평가와 연구부족에 말미암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형 마을녹화사업의 참여주체 유형별 사업과정과 성과를 분석하고, 사회적 자본 형성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사업의 순환구조와 참여 활성화를 위한 차별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사업과정과 사회적 자본의 체계적인 관계 구조를 밝혀 녹화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생활권녹화운동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지는 2013년에서 2017년까지 ‘서울, 꽃으로 피다’ 사업이다. 참여주체인 주민과 전문가 및 봉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내용적 범위는 사업과정과 사업효과, 사회적 자본의 형성 구조를 파악하고, 참여주체에 따른 차이점을 검증하였다. 분석 변수로는 사업성과요소, 사업내용으로서 참여활동요소와 공간시설요소,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로 신뢰, 참여, 네트워크, 규범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장년층이 많았고, 시간이용이 자유로운 직업군의 비중이 높았다. 이는 참여형 녹화사업의 기반인 지역민의 협업과 자발적 공동체형성에 뒷받침이 되었다. 사업성과에 대해 살펴보면, 전반적 참여성과와 참여자의 의견 반영도는 마을환경개선효과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이 요소들은 마을환경개선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민들이 전문봉사자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장소에 기반을 둔 주민이 문제기반의 전문봉사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업에 직접 동참하며, 본인들의 거주환경이 개선되는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게 됨으로써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사업내용인 참여활동은 참여정도에 비해 참여만족도가 높았으나, 공간시설은 적용정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았으며, 참여주체 중 전문봉사자들에게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 대규모 도시와 마을재생사업 뿐 아니라 소규모 녹화사업에서도 주민 대상의 사업설명회나 학습과정, 조성프로그램들은 만족도가 높음이 입증되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전문봉사자의 만족도를 더 높이려면 물리적 환경개선 시 전문봉사자의 명확한 역할을 제공하고 의견을 적극 반영함으로써 참여주체별로 차별화된 참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녹화사업을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 분석에서는 사업 후 사회적 자본 형성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중 신뢰와 규범은 사업 후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사업요소의 영향요인을 비교한 결과 참여활동이 공간시설에 비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은 참여활동과 공간시설의 조성활동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전문가는 공간시설의 조성활동만이 영향을 미쳤다. 사업전후 사회적 자본의 네 가지 구성요소 모두에서 주민이 전문봉사자에 비해 형성 값이 높아지는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주민의 경우, 신뢰와 규범, 비공식적 참여활동이 사업 후에 높은 반응을 보인 반면 전문봉사자는 참여와 네트워크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첫째, 참여형 녹화사업의 참여활동과 조성활동은 사회적 자본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었다. 둘째, 사업계획 시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와 참여, 규범, 네트워크의 형성에 대한 영향요인들의 차별적 형성관계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참여활동은 공간시설보다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이 더 크므로 참여활동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확대가 요구된다. 셋째, 참여주체별 활동내용에 따른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의 영향에 대한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주민을 위해서는 다양한 참여활동으로 신뢰와 네트워크를 강화하여야 하며, 전문가를 위해서는 공간시설 조성 활동으로 신뢰와 규범, 참여를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사업의 전 과정을 완결한 다수 사례지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분석함으로써 결과를 객관화하였으며, 참여주체의 유형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형성 구조를 파악하였다. 또한 대규모 도시재생사업이나 마을재생 위주에서 소규모 생활권녹화사업으로 대상지를 확장시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두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주민참여형 도시 생활권녹화사업의사회적 자본 형성 구조 분석 – 참여주체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Structure in resident participation type urban greening project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애란-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설계·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