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1 0

실제 이익조정 측정치에 관한 연구

Title
실제 이익조정 측정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New Measurement of Real Earnings Management - Focusing on Production Activity-
Author
오상훈
Alternative Author(s)
Oh SangHoon
Advisor(s)
이화득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익조정 연구는 회계선택을 이용하여 이익을 조정하는 방식인 발생액 이익조정과 기업의 실질 의사결정의 크기를 조정하는 실제이익조정에 대한 연구가 존재한다. 실제이익조정은 할인판매나 신용조건의 완화 등을 이용하여 매출을 늘리는 매출조정, 재량적 지출을 줄이거나 과대생산을 통하여 비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실제이익조정의 측정치는 Roychowdhury(2006)가 최초로 제시했는데 보고된 경영활동 수치와 정상경영활동 수치의 차이로 측정했었다. 최근 정상경영활동에 대한 측정치를 더욱 정교하게 제시하려는 연구들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Huang et. al 2018; Cohen et al 2016; Johnson and Stuart 2015). Roychowdhury(2006)는 이익조정을 산업-년 횡단면적으로 추정하기 때문에 동종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 대하여 동질성을 가정한다. 하지만 동질성가정이 위배되면 이질성 효과가 이익조정에 포함되어 측정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구의 주된 연구대상인 생산모형에서 생산과 매출의 관계는 동종 산업에서 모든 기업이 유사하다고 가정하는데, 만약 기업들 간에 원가율 차이가 존재하면 원가율 차이는 비정상생산에 포함되어 이익조정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횡단면 생산모형은 다음과 같은 취약점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원가율이 높은 기업은 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것으로, 원가율이 낮은 기업은 이익을 하향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이익조정 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둘째, 개별기업의 비정상생산은 시계열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예상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이익조정이 단기적이며 지속적이지 않다는 개념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다. 셋째, 이익을 상향(하향) 조정하기 위해 과대(과소)생산을 하면 대부분 재고자산이 증가(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생산은 재고자산 증감과 관련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Roychowdhury(2006)가 제시한 실제이익조정의 생산모형을 개선하기 위해 산업 내 개별기업의 원가율을 조정한 ‘원가율 조정 생산모형’을 제시한다. Roychowdhury(2006)가 제시한 모형에서의 비정상생산은 이익조정으로 인한 효과뿐만 아니라 개별기업 사이의 원가율 차이로 인한 효과가 혼재되어있으므로, 원가율 차이로 인한 효과를 제거하면 이익조정을 더 잘 반영하는 측정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원가율 조정 생산모형을 이용하여 비정상생산을 측정하고 Roychowdhury(2006) 비정상생산의 취약점이 개선되는지 비교분석한다. 분석에 사용될 표본은 2003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의 유가증권시장(KOSPI)에 등록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원가율 조정 생산모형으로 측정한 비정상생산은 Roychowdhury(2006) 모형으로 측정한 것과 비교할 때, 위에서 언급한 바람직하지 못한 속성들이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원가율 조정 비정상생산은 원가율과의 상관관계가 대폭 감소하였으며, 시계열적 자기상관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익상향(하향)을 위해 과대(과소)생산을 하면 대부분 재고자산이 증가(감소)해야 하는데 원가율 조정 비정상생산은 이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원가율 조정 생산모형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1종 오류와 2종 오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가율 조정 비정상생산 측정치는 Roychowdhury(2006) 모형 및 최근 시도되고 있는 여러 개선모형들과 비교할 때, 1종 오류와 2종 오류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별기업의 원가율 수준을 기준으로 원가율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원가율 조정 비정상생산은 1종 오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대상의 표본기업들 사이에 원가율 차이가 크게 존재할수록 Roychowdhury(2006) 모형으로 측정한 분석결과는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원가율 조정 생산모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를 재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원가율 조정 비정상생산은 미래 1년 수익성을 훼손하지만, 미래 2년 이후부터의 수익성은 훼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이익조정이 단기적인 수익성에는 악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 악영향이 계속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적자회피를 위해 기업이 실제이익조정을 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과대생산(이익상향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원가율 조정 생산모형이라는 이익조정을 더 잘 반영하는 측정치를 개발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의 재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연구대상의 표본기업들 사이에 원가율 차이가 크게 존재할수록 원가율 조정 생산모형의 사용을 통해 이익조정 이외의 효과를 더욱 잘 분리해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제이익조정 수단 중 생산 외에 모형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방식 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익조정 추정 시 산업-년 횡단면분석을 하는데 이때 산업 내 기업 간 이질성이 있는 체계적인 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고려한 모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일반적으로 모형을 추정할 때는 시계열적 관점이나 횡단면적 관점 중 하나의 방법만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방식대로 횡단면(시계열) 분석모형에 기업 간(기간 간) 차이가 나는 특성을 반영하면 모형의 적합성이 개선될 수 있어, 본 연구의 모형개발 방식은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9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83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CCOUNTING(회계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