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0

청소년 사이버 불링 주변인 역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Title
청소년 사이버 불링 주변인 역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Other Titles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bystander role behaviors in adolescent cyberbullying
Author
이소영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스마트폰의 확산 이후 또래 괴롭힘은 신체적 폭력이나 금품갈취 등 직접적인 괴롭힘은 감소한 반면 인터넷이나 SNS를 이용한 간접적인 형태의 사이버 불링은 급증하고 있어, 최근 사이버 불링은 심각한 청소년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 불링과 동일하게 사이버 불링 상황에서도 가해자와 피해자뿐 아니라 다수의 주변인이 존재한다. 주변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괴롭힘이 심화되거나 중단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사이버 불링의 경우 잠재적 주변인이 무한히 존재하기 때문에 그 영향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사이버 불링 주변인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 불링 주변인에게 영향을 미쳤던 심리적 변인 중 도덕적 정서, 귀인 성향, 방어자 효능감, 지각한 학급 내 지위가 사이버 불링 주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성별과 주변인 역할 유형에 따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사이버 불링 주변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432명과 여학생 390명, 총 822명의 설문 응답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대상자 822명 중에서 최근 1년간 사이버 불링 상황을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응답자는 244명이였다. 244명을 대상으로 사이버 불링을 목격하였을 때 어떠한 역할 행동을 하였는지 살펴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방관자(43.4%), 동조자(32.1%), 방어자(20.8%), 역할 없음(3.8%)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동조자(36.2%), 방관자(36.2%), 방어자(26.1%), 역할 없음(5.8%)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심리적 변인은 사이버 불링 주변인 역할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죄책감, 방어자 효능감, 피해자 귀인, 가해자 귀인은 남녀 모두에게서 사이버 불링 주변인 역할 행동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동조 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높은 쌍방 귀인과 낮은 방어자 효능감은 남학생의 동조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오직 여학생의 동조 행동만을 예측하였고, 높은 스스로 지각한 학급 내 지위는 오직 남학생의 동조 행동만을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사이버 불링의 예방 및 개입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Since the spread of smart phones, direct form of bullying such as extorting money, physical assault has decreased recently, whereas indirect form of bullying which uses internet or SNS, so called cyber bullying has increased dramatically. So cyber bully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s a serious youth problem. As in traditional bulling, there are many bystanders as well as perpetrators and victims in the cyberbullying situation. Bystander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maintenance or reduction of bullying behavior. The potentially unlimited audience in the online world suggests that the role of bystanders may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cyber bullying.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bystanders witnessing cyberbullying that can increase or decrease their support for vict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factors: moral emotion, attribution style, defender Self-efficacy, self-perceived social status, influencing behavioral reactions of bystanders witnessing cyberbullying in terms of gender after divides the bystader roles into defenders, outsiders, and bully-followers.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the clusters are classified under the type of cyberbullying bystanders roles using cluster analysis. For the purpose, total of 822 middle school students, 432 male and 390 female, in Seoul and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244 respondents who reported that they had witnessed the cyberbullying situation in the past year. The distribution of cyberbullying bystander’s role types was showed that the ratio of boys was outsider(43.4%), bully-follower(32.1%), defender(20.8%), and no role(3.8%) and the ratio of girls was bully-follower(36.2%), outsider(36.2%), defender(26.1%), and no role (5.8%). Second, all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d behavioral reactions of cyberbullying bystanders. Especially, guilt-proneness, defender self-efficacy, victim attribution, and bully attribu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bystander role types in cyberbullying for both gender.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variables predicting bully-follower behavior. High both attribution and low defender self-efficacy did not affect boys pro-bullying behavior, but predicted only girls' pro-bullying behavior. High self-perceived social status only predicted only boys' pro-bullying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cyberbully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7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0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