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자-
dc.contributor.author도은정-
dc.date.accessioned2018-09-18T00:44:18Z-
dc.date.available2018-09-18T00:44:18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61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726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전남지역 일반인의 문화향유 실태와 발레인식도 조사를 위해 순천, 여수, 광양에 거주하는 일반인 450명을 대상으로 397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발레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발레 공연 및 성인발레의 대중화 등 발레를 지역의 제도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레 인식도 요인과 문화향유 태도 요인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발레인식도 요인으로 ‘관심 및 참여도’, ‘사회기여성’, ‘대중화정도’ 의 3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Chronbach's α=.620-.889로 나타났다. 문화향유태도 요인은 ‘주관적태도’, ‘주관적규범’, ‘긍정적예기정서’, ‘지각된 행동’의 4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Chronbach's α=.771-.952로 나타나 설문문항 구성요인의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발레 인식에 대한 연구결과 발레의 예술적 가치는 다른 예술에 비해 인식이나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발레 대중화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보통으로 나타나 앞으로 발레가 대중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문화향유 경험이 문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라남도 지역주민들은 미술 전시회나 오페라 등의 문화에 대한 향유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무용 분야의 경험과 접근 기회는 타 문화향유 활동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문화향유 태도와 발레 인식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인이 다양한 타 문화를 향유하는 것만으로도 발레에 대한에 대한 인식을 좋게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인의 문화향유를 위한 문화적 태도가 발레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는 발레에 대한 긍정적 인식만으로도 관심과 참여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발레를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발레 자체가 갖고 있는 고유의 이미지와 호기심이 이미 일반인들에게 각인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발레 활성화 방안들이 효과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다른 문화 예술보다 예술적 가치가 높은, 건전한 사회·문화·여가를 위한 고급예술로서의 존귀함을 유지하고 꾸준히 그 가치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문화향유 실태조사에 나타난 전남지역발레 활성화 방안-
dc.title.alternativeWay to vitalize ballet in Jeollanam-do shown in research on factual conditions of Cultural enjoyment [centered on general public]-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도은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Eun Jeong D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