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8 0

과잉학습 사회 극복을 위한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 개발

Title
과잉학습 사회 극복을 위한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 model for lifelong learning ecosystem to overcome over-learning society - Based on the Deleuze’s differentiation theory -
Author
강수민
Alternative Author(s)
KANG, SOOMIN
Advisor(s)
유영만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현대사회는 개인이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 학력코드를 끊임없이 획득해야만 하는 과잉학습 사회이다. 과잉학습 사회는 과도하게 타인과 동일성을 추구하는 학습으로부터 개인이 생성해낸 학력코드가 다양한 삶의 맥락에 부합되지 못하면서 개인의 삶이나 사회가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는 데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지 못하고 폐기물로 퇴적되는 사회의 양상을 의미한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는 획일화되고 표준화된 교육과정으로서 동일성에 기반한 학습을 하게 된다. 이는 정답을 효율적으로 주입하고 산출하기 위한 기술 습득의 과정에 학습자를 무한 경쟁으로 내몰았다. 학습자는 태어나 죽는 순간까지 성취와 발달이라는 사회의 이정표를 벗어나지 못하고 매 순간 체계적으로 표준화되어 온 지표를 따라 자신의 능력을 평가받아 왔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고유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동일성의 잣대로 자신을 틀에 끼워 맞추며, 평생 학습을 통해 생존해야 한다는 압력을 가중시켰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과잉학습 사회의 동일성 기반 학습에 내몰리는 학습자가 자신의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를 Deleuze의 차이생성 이론의 매커니즘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Deleuze의 차이생성이란 우발적 사건으로부터 비롯되는 존재의 일부로서 차이가 역동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장(場)을 의미한다. 이는 과잉학습 사회에서 동일성을 기반으로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지닌 고유성이 소외되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개인의 차이를 역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존의 평생학습 연구에서 과잉학습 사회의 사회 구조적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학습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에 몰두했던 것을 비판하고 새로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Deleuze의 차이생성 이론에 기반하여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우선, Deleuze의 철학적 논의를 기반으로 학습자가 자신의 내재적 차이를 통해 일터와 가정에서 끊임없이 상호작용하고, 자신의 새로운 차이를 생성하는 학습의 여정으로 평생학습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Deleuze의 논지에 비추어 본 평생학습의 개념이 과잉학습 사회와 평생학습생태계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Deleuze의 관점에서 학력코드는 하나의 학습이 완결되었음을 인증하는 의미로 인식되어야 하며, 평생학습통합시스템은 학습의 다양체를 수용할 수 있는 열린 형태를 띠어야 한다. 또한 과잉학습 사회에서 학력코드가 누적과 독점의 양상으로 이루어져 왔던 것에 대하여, 평생학습생태계는 공유와 공생의 흐름으로 변화시키고, 개인과 학습, 일터, 가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사점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학습자의 고유한 차이와 능동적·창조적 학습세계, 일터의 욕망, 그리고 가정의 실천적 의지 생성 등 각 맥락에 부합하는 차이를 역동적으로 생성하는 장으로 평생학습생태계를 정의할 수 있었다. 도출된 Deleuze의 차이생성 이론에 기반한 평생학습생태계의 정의를 기반으로 과잉학습 사회를 극복하기 위한 평생학습생태계의 설계 원리와 구성요소, 설계 전략을 차례대로 도출하였다. 설계 원리는 역동적으로 감각되는 학습자의 고유성, 이념적 자원을 통해 촉진되는 학습의 다양체, 학습자의 일터 재구성을 통해 표출되는 실존적 차이, 새로운 영토로 탈주할 수 있는 실천 의지 등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각각의 원리를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차이생성의 핵심 구인을 도출하였으며, 그 구인을 드러내기 위한 설계 전략을 마지막으로 정리하였다. 설계 전략은 크게 다섯 가지로, 사회의 요구로부터 대등해질 수 있는 개인의 고유성 구축, 다양한 맥락으로 창조되는 학습의 망 구현, 역동적인 문제의 장으로 거듭나는 일터, 차이를 지닌 다양한 공동체의 생성, 공유-공생의 흐름을 지향하는 평생학습통합시스템의 개발 등으로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설계 원리와 구성요소, 설계 전략을 기반으로 최종적인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을 기반으로 전문가협의회 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증명하여 최종적인 개념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최종 도출된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은 크게 개인의 내면과 학습 공간, 사회참여 공간, 일상성의 공간이라는 네 개의 축으로 나누어졌다. 개인의 내면은 강도를 통해 학습자의 고유성을 역동적으로 감각할 수 있는 공간이며, 학습 공간은 이념적 성격을 띠는 학습자원을 통해 학습의 다양체를 학습자가 촉진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사회참여 공간은 학습자가 일터에서 자신의 흐름을 능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실존적 차이를 표출한다. 마지막이자 다시 처음의 개인 공간으로 연결되는 일상성의 공간은 새로운 영토로 탈주할 수 있는 실천 의지를 학습자 자신뿐만 아니라 일상의 구성원들도 함께 획득하게 된다. 그 안에서 각각의 공간들은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크게 학습과 실천의 선순환적인 흐름을 이끌며 기존의 과잉학습 사회가 보여주었던 악순환의 양상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평생학습생태계는 일생에 걸쳐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표면적 의미를 넘어서 사회 구조적 차원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둘째, 평생학습생태계는 많은 부분에서 무엇을 위하여 학습자가 평생 학습해야 하는지 목적의식을 갖고 구현될 필요가 있다. 셋째, 평생학습생태계의 논의는 기존의 학습 매커니즘을 잘 알고 그 요령대로 해오던 사람이 더 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만이 아니어야 한다. 넷째, 과잉학습 사회의 학습자가 평생학습생태계를 통해 배움의 주체로 거듭나기 위해서 평생학습생태계의 관계자는 그가 평생학습생태계의 관계망 안에서 부단히 관계 맺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 째,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차이생성 이론을 기반으로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후속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 구조적 맥락에서 학습과 교육을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교육공학의 연구 지평을 새롭게 모색하는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가 과잉학습 사회의 학습자에게 다양한 자신의 차이를 더 드러내고 확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학습이 변화될 수 있도록 평생학습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을 통해 그 첫 단추를 끼울 수 있는 실마리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Contemporary society is a way for the individual to survive in over-learning society that must constantly acquire academic qualifications. The over-learning society is a phenomena in which individual generates an academic career code through learning to pursue the same identity of education. It does not provide the proper help to solve the personal life or the crisis facing the society, but it is deposited as a waste of the place. In the process, the learner was given uniformity as a standardized curriculum. This led to infinite competition in the process of acquiring skills to inject and calculate correct answers efficiently. The learner could not escape a milestone of achievement and development and each moment had been assessed according to systematically standardized indicators until the moment of birth and death. This put pressure on the learner to survive through lifelong learning without recognizing his or her own uniqueness, fitting himself into the frame of the sameness of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to allow and empower the learner who were driven to identity in the over-learning society.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Deleuze’s mechanism of differentiation theory. Deleuze’s differentiation theory means a field in which a difference arises dynamically as part of the existence resulting from an accidental event.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process of learning based on identity in the over-learning society was critically recognized, allowing you to dynamically create individual difference. This study criticized the existing system of lifelong learning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learning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in the over-learning society and developed a new discuss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based on Deleuze’s differentiation theory. First, based on Deleuze’s philosophical discussion, learner defined lifelong learning as a journey of learning that constantly interacts with workplace and home through his or her inherent difference and generates his or her difference. Second,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based on Deleuze's argument for the over-learning society and the lifelong learning ecosystem were as follows. From Deleuze's point of view, an academic career code should be recognized as certifying that one learning has been completed and the lifelong learning integration system should be open to accommodate the learning manifold. In addition, the academic career code had been composed of accumulation and monopoly in the over-learning society. It was necessary for the lifelong learning ecosystem to change into the flow of sharing and symbiosis to organically link the individual, learning, workplace, and family. Based on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ultimately led to a definition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as a place to dynamically generate differences that corresponded to each context, such as the learner's unique difference, the active and creative learning world, the desire of the workplace, creating a practical will of the community. Secon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based on Deleuze's differentiation theory, this study derived design principles, components, and design strategies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in order to surmount the over-learning society. The design principle was derived in four ways that the uniqueness of learner dynamically sensed, the diversity of learning facilitated through ideological resources, the existence difference which was expressed through the learner's workplace reconstruction, and willingness to escape to a new territory. Based on each principle, this study also derived core components of generating the difference and finally summarized the design strategy to reveal them. There were five design strategies that building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that could be equalized from the needs of society, a network of learning that was created in various contexts, the workplace was born as a field of dynamic problems, the creation of diverse communities with differenc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lifelong learning system that aimed for a shared-symbiotic flow. The conceptual model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rived design principles, components, and design strategie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the final model was derived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expert council. The conceptual model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was divided into four axes: the inner space of the individual, the learning space, the social participation space, and the space of everydayness. The inner space of a person could dynamically sense the uniqueness of a learner through strength. The learning space functioned to facilitate the learning manifold through resources with an ideological characters. The social participation space expressed the existential difference in which learners could actively reconstruct their flow in the workplace. The space of everyday life, which was connected to the last private space, would acquire not only the learners themselves but also the members of everyday life who could practice to escape to a new territory. Within each of them, each space interacted and at the same time led to a virtuous cycle of learning with practice by changing the vicious cycle that the existing over-learning society had show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 the lifelong learning ecosystem should have a direction to overcome the social structural dimension beyond the superficial meaning of promoting and supporting learner's lifelong learning. Second, the lifelong learning ecosystem needed to be implemented with a sense of purpose as to what part of the lifelong learning should be done by the learner. Third, discussion of the lifelong learning ecosystem should not be the only process that allows people who knew the existing learning mechanism and who had done so to do better. Fourth, in order for over-learning society’s learner to become the subjects of learning through the lifelong learning ecosystem, it wa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the persons concerned in the lifelong learning ecosystem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m in the network of the lifelong learning ecosystem. Fifth, more detailed follow-up studies on the conceptual model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were needed based on the difference generation theory derived through this study. Finally, various follow-up studies should be made to find out the research horizon of educational engineering that can understand and actively solve learning and education in social structure contex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act as a clue to put the first button through the conceptual model of lifelong learning ecosystem so that learning can be changed in a way that can reveal and extend various self differences to learner in the over-learning socie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4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5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