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9 0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중년여성 대상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Title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중년여성 대상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Complex Physical Activity Program designed for middle-aged women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Author
이병주
Alternative Author(s)
Lee, Byeong Ju
Advisor(s)
황선영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초록 현대사회의 가장 주된 건강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만 등의 만성질환은 사망의 주요원인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관리와 예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45세 이상 폐경전후의 중년여성은 여성호르몬의 감소, 체중 증가 및 신체활동 감소 등 다양한 위험요인이 증가하여 심혈관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질병 예방을 위해서는 중년여성에서 규칙적 운동, 건강한 식습관 등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수적이나 지속적인 실천이 매우 어려우므로, 개인의 생활습관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건강행위의 지속을 위한 동기와 의지를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비만과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가진 중년여성을 위한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후 개인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의 장점 및 운동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키고 그 효과로서 신체조성, 근력 및 생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북부지역 A시에 소재한 24개 읍․면․동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5세 이상 65세 이하의 복부지방률 0.85이상, 체지방률 28이상,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등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이 하나 이상인 중년여성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1월 8일부터 4월 20일까지 3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실험군 27명, 대조군 27명 대상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기틀을 세우고,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여 전문가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군에게 적용한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개인의 운동행위와 동기를 증진하기 위해 다양하고 역동적인 과정을 통해 적절한 개인별 행위변화 중재를 적용하고, 건강행동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건강교육」, 「근력 및 유산소 운동」과 「식이 상담」및 「운동 상담」중재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은 4주간을 1세트로 하여 총 3세트 12주 동안 진행되면서, 매 세트마다 프로그램을 등록하도록 하였다.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은 주 5회 12주간 60회기, 건강교육과 식이 및 운동 상담은 주 1회 12주간 12회기를 시행하였다. 계획단계의 대상자에게는 프로그램 중재가 시작되기 전에 일대일 상담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 정보 제공, 개인적 회상을 통하여 동기화를 유도하였다. 이후 계획단계, 준비단계, 행동단계, 유지단계에 있는 중년여성에게 동기정도에 따라 변화전략이 역동적으로 제공되었으며, 자신이 운동수행을 꾸준히 지속하고 식습관 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건강교육」, 「근력 및 유산소 운동」과 「식이 상담」및 「운동 상담」을 모든 단계에 적용하여 의사결정 균형, 자기 효능감이 증진되도록 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신체조성과 생화학적 측정 검사결과에 대한 기본상담과 실험종료 후 건강정보 책자를 제공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두 군의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은 서술적 통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사전 동질성검증은 Chi-square test, t-test로 하였고, 연구의 가설검증은 두 군간의 사전, 사후 차이검증에 대한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에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프로그램 중재 후 각 그룹별 사전사후 비교 결과, 운동행위 변화단계는 실험군은 계획단계 3명(11.1%), 준비단계 12명(44.4%), 행동단계 3명(22.2%), 유지단계 9명(33.3%)이고, 중재 후 계획단계 0명(0.0%), 준비단계 6명(22.2%), 행동단계 10명(37.0%), 유지단계 11명(40.7%)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χ2=8.46, p<.027), 운동행위 변화과정의 각 그룹별 사전사후 점수는 경험적 변화과정에서 실험군 0.41±0.20점, 대조군 -0.03±0.12점으로 실험군의 상승 폭이 크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9.89, p<.001). 행동적 변화과정에서 실험군 0.38±0.27점, 대조군 -0.03±0.16점으로 실험군의 상승 폭이 크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6.88, p<.001). 의사결정 균형의 이득적 요소(t=2.29, p<.026), 운동 자기효능감(t=7.32,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의사결정 균형의 장애적 요소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3.52, p<.002). 신체조성에서는 실험군에서 복부지방률(t=-2.09, p<.042)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체질량지수(t=-1.29, p.202), 체지방률(t=-1.99, p=.052)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력요인으로 악력(t=2.27, p<.028)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군에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t=-2.31, p<.025), 총콜레스테롤(t=-4.19, p<.001)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t=0.72, p=.473), 공복혈당(t=-1.51, p=.139)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 개인의 변화단계에 따라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대상자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변화과정, 의사결정 균형 및 운동 자기효능감과 복부지방률, 악력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도시 지역이 아닌 지방 중소도시의 중년여성들에게 지역사회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중재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고, 만성질환 예방과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보건소나 대학 등 지역사회 자원과의 지속적인 연계를 바탕으로 복합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적용과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3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84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