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9 0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20대 성인을 중심으로

Title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20대 성인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Focused on Adults in their 20s
Author
김예지
Alternative Author(s)
Kim, Yae Ji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20대 성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 남녀 220명을 대상으로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SNS 중독경향성 수준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존감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SNS 중독경향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존감 안정성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과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자존감 안정성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모두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존감 안정성이 자존감과 독립된 심리적인 변인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또한 20대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를 매개하는 심리적 변인인 자존감 안정성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SNS 중독에 관련된 상담의 기초자료의 범위를 확대하여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SNS 중독경향성;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Focused on Adults in their 20s Kim, Yae Ji Dep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220 adults in their 20s were surveyed to measure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self-esteem, self-esteem stabil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self-estee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esteem stabil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regard to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self-esteem did not show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but self-esteem stabilit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were partially mediated by self-esteem stability in relation to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proved that self-esteem stability is an independent psychology variable from self-esteem. Also, we can expand the scope of the basic data on SNS addiction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esteem stability, which is a psychological variable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their 20s with the highest SNS utilization rate. Last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Keywords: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Self-Esteem, Self-Esteem Stability, SNS Addiction Tendenc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31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4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상담심리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