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경-
dc.contributor.author이정호-
dc.date.accessioned2018-09-18T00:42:47Z-
dc.date.available2018-09-18T00:42:47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25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907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큰꿩의비름이 빛과 파장 자극에 대한 생리적인 반응에 따라 생장과 식물체내의 물질의 변화와 그 물질에 따른 항염효과 예측 지표인 NO생성억제효과와 HO-1촉진효과 그리고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빛과 파장에 따른 생장에서 초장과 초폭은 Red+Blue LED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Blue LED 처리구에서 초장과 초폭이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다. 엽수는 Blue LED와 greenhouse(control)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엽장과 엽폭의 경우, Red+Blue LED 처리구에서 확연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개화소요일수에서는, greenhouse(control) 처리구에서 개화가 더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식물체내 물질변화에 대한 HPLC 분석결과에서 Control과 크게 차이가 나는 부분이 여러 곳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대체로 단파장(254nm)부터 장파장(360nm)까지 자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보이는 성분들로 본다면 자연계에 흔한 플라보노이드 유사성분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은 외부의 조건에 따라 그 생합성과정이 영향을 많이 받는 이차대사산물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특이 사항은 360nm 크로마토그래프에서 Schumann resonance(7.83㎐)를 2주간 처리한 11월 21일 처리구 물질 패턴이, 생육이 왕성한 시기인 7월 14일 채취 분석한 시료의 패턴과 유사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생리활성검색결과 전반적으로 NO생성억제효과가 40∼60%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세포독성은 50 ㎍/㎖ 실험농도조건에서 실험을 하였을 때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이 결과만으로는 단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후의 세포신호전달과정을 조사해 보고, 실험동물모델에서 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판단된다. 피부테스트에서는 생리활성검색과 시료에서 물질을 추출하는 처리방법이 서로 달라 직접 비교는 어려우나 세포독성 및 평가평의 특성에 따라 고농도에서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미백의 경우는 Red+Blue, Red 처리구 에서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Schumann resonance(7.83㎐) 처리구에서 유의한 값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유용식물유래 신소재 개발을 통한 사업화 방안-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Wavelength and Shumann Resonance on Growth and Material Changes in Hylotelephium spectabile (Miq.) H. Ohb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정호-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신소재공정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