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원일-
dc.date.accessioned2018-09-12T07:22:40Z-
dc.date.available2018-09-12T07:22:40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citation경영교육연구, v. 31, NO. 6, Page. 633-654en_US
dc.identifier.issn1598-8651-
dc.identifier.uri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506769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127-
dc.description.abstract[연구목적]자동차 사업의 연구개발 분야는 소비자, 법규 요구 및 IT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술융합에 기반 하여 자동차가 이동수단을 넘어 지능화 및 스마트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과 더불어 “자율주행 자동차”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여 부품업체에서부터 완성업체에 이르기까지 전 방위의 기술혁신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기술혁신 형태에 대해 국내 완성차 업체와 부품업체의 대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의 핵심기술과 관련하여 혁신 형태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혁신의 형태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자동차 산업에 적합한 혁신에 대한 핵심 이론을 선정하였고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자율 주행 자동차의 기술혁신 모형에 개별적 기술들이 어떻게 연관되는지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핵심 기술들에 대해 국내 자동차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주성분분석 등을 통해 기술 혁신 형태의 발전방향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결과]Rosell & Lakemong(2012)이 제시한 혁신 행태의 분석법에 따라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요 핵심 기술인 센싱기술, 제어기술, 인프라 기술, HMI 판단 기술 및 기타 전장 기술 분야에 대하여 컴포넌트 및 아키텍처 혁신 등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인프라기술, 전장기술, HMI 판단기술은 아키텍처 혁신과의 상관성을 가지며, 센싱 기술, 제어기술, HMI 판단기술은 컴포넌트 혁신과의 상관성이 높음을 보였다. 이러한 혁신의 형태의 회귀분석을 통해 제어기술 및 HMI 판단기술은 융합 혁신과 유의한 결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기술들의 주성분 요인분석을 통해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 핵심기술의 혁신 형태는 컴포넌트 혁신, 아키텍처 혁신, 융합 혁신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렇게 도출된 기술 혁신의 3개축에 자율 주행 자동차의 개별 핵심 기술을 포지셔닝하였다. [연구의 시사점]기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컴포넌트 혁신 및 아키텍처 혁신에 더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융합 혁신 형태를 통해 개별 핵심 기술들이 융합 산업과 관련되는 혁신 형태에 대해 설명 가능함을 보였다. [Purpose] The new paradigm of autonomous vehicle has been the source of omni-directional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motor industry by motivating the evolutions which range from the components to the assembli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novation types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by conducting surveys to capture the shifts in the technology innovation aspects. [Methodology] We adopt the theoretical basis from the existing innovation researches for describing the technology innovation in motor industry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technological aspect and the technology innovation model. We derive the directions of technological evolution by surveys on the R&D employees in Korean automotive manufacturers. [Findings] We follow the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by Rosell & Lakemong(2012) to categorize core technologies of autonomous vehicle into component and architectural innovations. Ou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technologies for vehicle control and HMI imp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onvergence innovation. We show the positioning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ies on 3 axis of component, architectural & convergence innovations. [Implications] Our study shows how individual core technologies can be explained with extended framework which includes convergence innovation by considering the innovation aspects in convergence industry.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경영교육학회en_US
dc.subject기술혁신en_US
dc.subject컴포넌트 혁신en_US
dc.subject아키텍처 혁신en_US
dc.subject급진적 혁신en_US
dc.subject융합형 혁신en_US
dc.subject혁신 레벨en_US
dc.subject자율주행 자동차en_US
dc.subjectTechnology Innovationen_US
dc.subjectComponent Innovationen_US
dc.subjectArchitecture Innovationen_US
dc.subjectRadical Innovationen_US
dc.subjectConvergenceen_US
dc.subjectAutonomous Vehicleen_US
dc.title자율주행 자동차 산업에서의 기술 혁신 형태 연구:국내 자동차 업체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Study of Innovation Type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Focused on Korean Domestic Vehicle Industry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6-
dc.relation.volume31-
dc.identifier.doi10.23839/kabe.2016.31.6.633-
dc.relation.page633-654-
dc.relation.journal경영교육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주백수-
dc.contributor.googleauthor조원일-
dc.contributor.googleauthorJoo, Baeg su-
dc.contributor.googleauthorJoh, Won iL-
dc.relation.code2016018195-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 INNOVATION MANAGEMENT[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TECHNOLOGY MANAGEMENT-
dc.identifier.pidwijoh-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